안녕하세요,,,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1) 등분포하중을 사각형의 가운데에, 등변분포하중을 삼각형의 긴쪽변의 1/3 위치에 가상의 집중하중으로 치환하고 지점반력을 계산합니다. 강조해서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가상의 집중하중으로의 치환이라는 것입니다. 이 말은 지점반력의 계산이 끝나면 가상의 집중하중은 제거하라는 의미가 되겠으며, 실제 하중상태는 사각형의 등분포하중과 삼각형의 등변분포하중이 그대로 살아있다는 것을 언제나 명심해주셔야 합니다.
(2) A점은 0kN/m, A점으로부터 우측으로 1m위치는 5kN/m, A점으로부터 우측으로 2m위치는 10kN/m, A점으로부터 우측으로 3m위치는 15kN/m, A점으로부터 우측으로 4m위치는 20kN/m, A점으로부터 우측으로 5m위치는 25kN/m, A점으로부터 우측으로 6m위치는 30kN/m가 예제12번에 대한 삼각형 등변분포하중의 크기를 나타내는 의미들입니다.
(3) 전단력이 최대인 위치에서 휨모멘트는 0이라는 사실 이외에, 그림과 같은 A점과 B점은 단순지지보의 맨끝쪽에 위치한 곳이므로 휨모멘트가 무조건 0인 위치들이 된다는 것이 더 기본적인 내용이 될 것 같습니다.
(4) 예제17번에서 최대 정휨모멘트라는 언급이 있다면 +90이 되겠고, 최대 부휨모멘트라는 언급이 있다면 -160이 되겠습니다. 보통 이런 구분을 잘 하지 않습니다.
단순히 해당 구조물의 최대 휨모멘트가 얼마냐고 한다면 위의 두개의 값의 절대값 중에서 큰 160이 최대 휨모멘트가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