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초역학 교재 95페이지 34번 문제의 풀이를 보니 절단법을 사용하였던데 83페이지에서 절단법을 설명하실때 직선형태로 잘라야 된다고 하셨는데 풀이에서는 절점법을 사용할 때의 형태로 되어있던데 맞는 풀이인가요? 절단법을 사용할 때 절점법처럼 곡선으로 끊어서 풀어도 되는건가요?
2. 재질문 남깁니다
연습문제 69쪽의 12번과 70쪽의 16번 문제에 관한 질문입니다
12번 문제에서는 힌지에 하중이 작용하여도 Ah구간에 하중이 작용하지않는 것이라 보고 A지점 반력이 0이라고 하였는데 16번 문제에서는 오른쪽의 30의 등분포하중이 180이 되어 C지점과 힌지가 나누어 가져서 90을 받는데 그것을 다시 오른쪽 내민보에 적용하여 A지점 반력을 구하고있습니다
그런데 12번 문제의 풀이에 따르면 16번에서 D의 힌지에 가해진 등분포 하중의 일부는 힌지에 가해진 것이므로 오른쪽 보에 영향을 주면 안되는 것 아닌가요?
(3) 69페이지의 12번은 많은 학생들이 질문하는 내용 중의 하나입니다.
힌지점을 H라고 한다면 AH는 불완전단순보, HB는 캔틸레버보입니다.
H점에 작용하는 하중이 불완전단순보만에 작용한다고 보면, A점의 수직반력은 0이고 H절점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수직반력 50을 HB캔틸레버쪽으로 전달하는데 H점에 하향으로 바꿔서 전달시킨다고 해석을 합니다.
H점에 작용하는 하중이 캔틸레버보에 작용한다고 보면, AH불완전단순보는 처음부터 A점의 수직반력도 0이고, 힌지에 걸리는 수직반력도 0이므로 0을 HB캔틸레버쪽으로 전달하는데 H점에 하향의 0으로 바꿔서 전달시킨다고 해석을 한다면 기존의 HB캔틸레버보에 50+0이라는 하향의 하중이 있는 상태가 될 것입니다.
위의 두가지 경우는 같은 경우가 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6번 문제는 ABD내민보와 DC불완전단순보의 조합입니다. D점의 상향의 수직반력 30*6/2=90을 ADH내민보의 D점에 하향의 하중 90으로 바꾸어서 전달시킨다면 ABD내민보는 40kN과 90kN 두개의 수직하중에 대한 내민보 해석을 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빨간색 글자가 이해가 가지않습니다
불완전단순보에 하중이 작용한다면 반력으로 A지점에 반력이 형성되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3. 70페이지 17번에서는 E점에서는 반력과 하중을 더하여 내민보의 반력을 구하였는데 75페이지 45번 문제에서 왼쪽 캔틸레버 보에서 모멘트 합을 구할 때 B의 반력을 구하여 -1이 나왔는데 원래 B지점에 있던 3의 하중과 더하여 +2로 계산하는 것이 아닌 -1로 계산을 하는데 왜 그런건가요? 갤버보 문제가 다 막히는데 푸는 방법을 정확히 어떻게 정리해야 할 지 잘 모르겠습니다 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