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1) B점에서 어차피 휨모멘트가 생길것이므로 고정단이라고 간주하면 AB부재에 작용하는 등분포하중에 의해 B절점은 시계방향의 고정단모멘트가 발생할 것이고, 이러한 고정단모멘트는 AB부재를 위쪽으로 휘게 만들것이므로 휨모멘트의 부호를 -로 시작한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이러한 연속보를 모멘트분배법으로 해석하고자하는 것보다는 364페이지의 3연모멘트법이 훨씬 탁월하고 간명한 해법이 되므로 연속보의 3연모멘트해석을 연습해두시길 당부드립니다.
(2) 모멘트분배법은 절점에서의 모멘트가 실제의 모멘트가 아닌 경우 고정단모멘트의 부호를 바꾼 해제모멘트의 개념을 도입해야 정확한 해석이 됩니다.
BC부재의 중간에 작용하는 등분포하중에 의해 B절점에 반시계의 절점모멘트가 발생합니다. 이것은 B절점에 실제의 모멘트로 제시된 것이 아니므로 크기는 내버려두고 방향만 뒤바꾼 시계의 절점모멘트를 해제모멘트라고 보고 이것을 A단에 분배율만큼 분배한 후 그것의 절반이 A단의 전달모멘트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때 A점의 전달모멘트는 시계방향이며 수평의 AB부재를 아래로 휘게 만들것이므로 +휨모멘트가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