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강의 문의좀 올리겠습니다^^(토목-응용역학)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응용역학 > 안광호
글쓴이 이*희 등록일 2020.09.01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공부를 하다가 모르는 내용이 생겨서 글을 올립니다!

    먼저 제가 비전공자인데, 토목을 전공으로 배우고 싶어서 편입을 준비하는데 무작정 부딪히다보니,

    다소 질문 수준이 낮을 수 있습니다..ㅠ 양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더불어, 다소 낮은 수준 높은 내용을 쉽고 자세히 설명해주셔서 이 자리를 빌려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먼저 질문하고 싶은 내용은

    SFD 와 BMD 의 내용입니다. (사진을 제대로 올리려 해봐도 가로로 밖에 안올라가네요ㅠㅠ)


    1) 처음 그림을 보시면 등분포하중과 집중하중이 같이 오는 문제입니다.

    이때 SFD를 그리면 등분포하중이기 때문에 1차 하향의 직선에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점에서는 하향이면 아래로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만큼

    상향이면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만큼 올라가게 됩니다. 그러면 처음 반력을 계산할 때, 상향이면 +, 하향이면 - 를 가정한 내용과

    SFD와 일치하게 됩니다.



    2) 두번째 문제는 교재 192페이지 53번 문제입니다.

    이때 등분포하중과 지점에서 모멘트하중이 같이오게되어 BMD를 그릴 때, SFD를 이용하여 그리고자 하였습니다.

    그래서 SFD가 0이 되는 지점을 구하니 그 위치가 A점에서 8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점에서 SFD의 좌측이나 우측의 넓이 만큼이 BMD의 값이 되는데, 좌측을 계산하면

    +[+(400*8*1/2)]가 되어 1600이 됩니다.

    그리고 B점에서의 BMD값은 B점 우측을 계산하면 모멘트가 없기 때문에 0이 되어야 하는데

    지점에서 모멘트 하중이 생기고 있고, 교수님께서 모멘트하중이 올 떄의 BMD를 설명해주시면서 변형도를 계산하면

    아래쪽(BMD기준 +)으로 1500만큼의 값을 가지는 것은 알겠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이해가 안되는게,

    SFD의 경우 구하고자 하는 점에서 집중하중이 하향이면 - 방향으로, 상향이면 + 방향으로

    SFD의 방향과, 집중하중의 방향이 같은데,

    BMD의 경우 위의 문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작용하면 이 값은 -가 되어야 되고, BMD의 그림에서도 수평선 위쪽으로

    그려져야 되는게 아닌가 하는 의문을 갖게 되었습니다.

    물론 교수님께서 변형도와 함께 설명을 해주실 때, BMD가 그렇게 그려지는 것에 대해서 말씀을 해주셨는데,

    왜 B점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모멘트하중이 작용해도 BMD는 +방향으로 그려지는지 제 생각으로는 조금 의문이 생깁니다.

    그래서 위의 같은 문제로 B점에 있던 반시계방향의 모멘트하중을

    A점에 그렸는데, 이때는 또 BMD에서도 모멘트하중의 방향과 같이 - 방향으로 그려집니다..

    그리고 또 A-B 사이에 오게되면 바람개비 모양으로 우하향 한 뒤에 ㅣ자로 올라가고 다시 우하향 하게 되다 보니,

    모멘트 하중이 작용하는 위치에서는 A점과 같이 모멘트하중의 값과 같은 양의 - 값을 가지게 되는 것이 맞다고 생각을 하고있습니다.

    그럼 왜 유독 B점에서만 +방향으로 가게되는 것인지 그것을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ㅠㅠ

    그런데 왜 A점에서만 - 의 값을 가지는지, 또 SFD와 달리 왜 BMD는 반시계방향으로 작용해도 + 값을 가지는지 궁금하여 글을 올립니다.


    더불어, 192페이지의 53번 문제에서

    BMD의 값은 SFD의 좌측 혹은 우측의 면적과 같다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아래의 사진에서 X점을 기준으로 좌측을 계산하게 되면 1600이 나오는데

    오른쪽의 면적을 계산하면 -[-(100*2*1/2)를 하게되면 100이 되는데,

    이것이 아마 모멘트 하중 1500과 계산하면 1600이 되는 거 같습니다.

    그런데, 이것도 면적을 계산하면 양의 값 100을 갖고, B점은 -1500을 갖는데 어떻게 1600이 되는지 모르겠습니다ㅠㅠ


    제가 기사시험만 준비를 한다면, 그냥 무작정 외우는 식으로라도 하고 싶지만, 편입시험은 워낙 범위가 넓고, 한문제로 결정이 되다보니

    완벽하게 이해하고 싶어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한솔아카데미 |(2020.09.01 18:47)

    안녕하세요,,,

    이 게시판은 토목기사를 준비하는 학생들의 공간이고 대부분 해당 문제에 대한 설명을 답변으로 드리고 있는 형태입니다.

    그런데, 학생의 경우는 편입시험을 준비하는 다소 다른 목적이므로 공부의 방법도 달리 가져가셔야 할 것으로 판단합니다.

    질문하신 문제에 대한 의문점을 제가 답변을 드리는 것보다는 시중 서점에 가셔서 재료역학이나 응용역학에 대한 교과서들을 참고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국내외의 수많은 역학교과서들이 있지만 편입시험을 준비하는 학생의 경우를 조금 더 만족시킬만한 책은 [James.M.Gere 재료역학]가 아닐까 하며, 시간을 내셔서 시중 대형서점에 가셔서 직접 눈으로 교과서를 확인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첨부파일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