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교재에서 보면
자연상태의 토량 : 굴착할 토량, 본바닥 토량, 원지반 토량
이렇게 정의가 되어있습니다.
그런데 한솔실기교재2권 8페이지 2번문제를 보면
자연상태의 성토량 = 30000+36000=66000m^3 이렇게 나와있는데
사실 식은 자연상태의 토량이 아닌 완성상태의 토량을 나타내게됩니다.
그래서 나중에 1/C 를 곱해줍니다.
문제는 분명 저것은 1/C를 곱해줌으로서 완성토량을 나타내는데
왜 자연상태의 성토량이라고 표기를 하는것 입니까?
안녕하십니까? 홍성협입니다.
질문하신 자연상태의 성토량은 흙의 상태가 자연상태를 말하는것이 아니라
자연상태 흙을 굴착하여 성토한 양입니다.
자연상태라는 말이 앞에 붙어있어 혼란이 오신것 같은데 생략하여 그냥 성토량이라고 표현하셔도 됩니다.
성토는 다짐이 동반되기 때문에 성토량(다짐상태)을 본바닥 상태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1/c를 곱하게 됩니다.
좋은하루 보내시고 몸관리 잘하세요~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