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ivil.inup.co.kr/post/read.jsp?id=7525&layout=&s_module=&s_field=&s_keyword=%EC%95%88%EC%A0%95%ED%9B%88
위 질문에서 명확하게 이해가되지 않아 추가질문과 제가 이해한게 맞는지 확인하고 싶습니다.
-------------------------------------------
질문1. 3번문제는 응력을 구하는 문제이기때문에, 허용응력설계법을 사용하고, 이 허용응력설계법은 하중증가계수를 적용하지않는다. 그래서 그냥 WL+WD로 외부하중을 구한다.
그러나, 아래 문제와 같이 보나 기둥 등을 설계할때는 강도설계법을 사용하므로, 최대하중과 최대강도를 구할때는 하중증가계수를 사용하고, 1.2WD+ 1.6WL 을쓴다.


제가 이해한게 맞나요?
+이 내용과 비슷한 개념인것같아 하나더 질문드립니다.
단주의 압축응력을 구할때, 왜 환산단면적을 쓰는지 계속 궁금했었는데요..
왜냐하면, 단주의 압축응력을 구할때는 환산단면적을 쓰지만,
단주의 설계를 할때는, 단순히 콘크리트의 압축력과 철근의 압축력을 더하게 되는데, 이때는 환산단면적을 쓰지않잖아요?
그러면 선생님께서 설명해주신 개념을 적용해 본다면,
단주의 압축응력을 구할때는, 응력을 구하는것이니까, 허용응력설계법을 사용하는것이고, 그렇기 때문에 환산단면적을 쓰지만,
단주를 설계할때는, 강도설계법을 쓰니까, 환산단면적을 쓰는것이 아니라, 단순히 콘크리트압축력+ 철근압축력(Cc+Cs)을 더하는것인가요?
-------------------------------------
질문2. 이문제는 답변이 무슨말인지 잘 모르겠어요..
"단면의 중앙부에서 받는 힘을 중립축의 값으로 바꾸면 압축과 (-)휨(=상부는 인장, 하부는 압축)을 받게 됩니다." 라고 하셨는데, 중립축값으로 어떻게 바꾸는지 잘모르겠네요.. 상부에서 최대압축응력이생기는것같은데,,.,
다시한번 설명 부탁드려요 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