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수님. 온도보정에 관해 여쭙겠습니다
교재에 나와있는 온도보정식입니다.
제가 궁금한건 "부호"입니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으면 길어지고,
낮으면 짧아집니다.
온도에 따라 길이가 달리지기 때문에
표준온도일때의 길이로 바꾸는걸, 온도보정이라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저 식을 위 원리에 대입해보면(표준온도가 15도라고 가정)
측량시 온도가 18도이면 보정량이 (+)가 나옵니다.
즉, 측량시 온도가 18도일때 100이라는 길이가 나왔다면
100 + a(보정량)를 해야 15도일때 길이라는 소리입니다.
18도일때의 길이보다 15도일때의 길이가 더 길다는 사실이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아래 두가지 문제에 적용시켜보겠습니다.
부호에 대한 두 문제의 해석이 달라서 더욱 헷갈립니다

45m + 4.05 x 10(-3) = 표준온도(10도)에 대한 길이
45m = 측량시 온도에 대한 길이
입니다
답에는 실측시 온도가 15도인데, 이를 적용하면
15도의 길이보다 10도의 길이가 더 길다? 는 말이됩니다.

15도에서 측정한 길이 = 240.34m이고
표준온도(10도)에서 측정한길이는 240.34m - 0.0144m (해설의 Ct참고)입니다
10도일때의 길이가 15도일때의 길이보다 짧으니, 이것은 상식적으로 말이 됩니다.
하지만 교재의 아래식을 적용해봤을때
해설: Ct부분의 10도와 15도는 위치가 서로 바뀐것 같습니다.
두 문제 내에서도 내용이 서로 달라 헷갈립니다.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