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수리수문학을 강의하고 있는 한웅규입니다.
해당문제 풀이는 가, 다, 라에 대한 지문이 지하수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이론이므로 나에 대한 지문을 해석하기 어렵지만 답을 나로 선택하는 것이 출제자의 의도로 생각됩니다.
투수량계수는 일정한 점성계수를 갖는 지하수가 단위동수구배 하에서 대수층의 전두께와 단위폭으로 이루어진 면을 통하여(단위폭×대수층 전체두께) 1일동안 투수되는 물의양. 즉, 대수층을 통해 얼마만한 수량이 유동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수로 지하수의 평면 2차원 유동을 고려하는 경우 사용하게 됩니다.
다시 말해 투수계수는 대수층의 단위폭과 단위두께를 통해 흐르는 물의 양이고, 투수량계수는 대수층의 단위폭과 전체두께를 통해 흐르는 물이 양을 뜻하게 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