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 강의처럼 지표면의 면적은 다양하기 때문에 지표면의 전체면적에 대한 유량을 고려하지 않고 단위면적을 통해서 유입되는 유량(Q)는 1번 토층, 2번 토층, 3번 토층을 통해서 동일한 유량이 유입된다(질량보존의 법칙이 성립한다)고 보고 수직방향평균투수계수를 구하는 것입니다.
단위면적의 공간을 통해서 물이 흐를 때 물이 흐르는 공간 내로 외부에서 물이 유입되지도 않고 또한 이 공간 내로 흐르는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도 않는다고 보는겁니다.
Q= k*i*A = k*(delta h/ H)*A
유량 Q : 일정
유수단면적 A : 일정(단위면적=1)
수두차 delta h : 3개의 각 토층마다 다름
토층의 두께 H : 토층마다 각각 다름
투수계수 k : 각 토층마다 다름
님께서 언급한 투수량이 100이라는 것이 어떻게 나온건지는 모르겠지만 해설강의에서 설명한 내용 그대로 입니다.
수직방향투수계수를 구할 때는 유량이 일정하다고 보고 세운 식을 정리하여 유도한 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