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강은 2016년판 교재로 촬영을 했는데 2016년판 교재에서는 문제에서 갇힌공기량이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공기량에 대한 보정을 하지 않는 것으로 설명드린 것입니다.
또한 2016년판 교재의 해설에서 잔골재율 차이에 대한 단위수량의 보정부분이 누락되어 있고 인강에서도 이 부분이 누락되어 있습니다.
2018년판 교재에서는 문제의 주어진 조건 중에서 갇힌공기량이 2%로 주어졌기 때문에 해설처럼 공기량 차이에 대한 잔골재율과 단위수량의 보정을 해줘야 합니다.
그리고 보정된 잔골재율과 배합설계 참고표의 잔골재율과 차이가 나는 것에 대한 단위수량의 보정도 해줘야 합니다.
공기량은 다른 재료(물, 시멘트, 혼화재 등등)와는 달리 절대체적을 구하지 않고 콘크리트 1m^3에 대한 백분율로 계산을 하기 때문에 배합설계조건인 갇힌공기 2%로 계산합니다.
갇힌공기 2%를 분수로 고치면 2/100 = 0.02/1입니다. 이것은 분모의 콘크리트 1m^3 속에 공기의 부피가 분자에 있는 0.02m^3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배합설계표에 나와 있는 공기량은 배합설계참고표가 만들어질 때의 공기량이므로 배합설계시 이 공기량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다만, 배합설계조건의 갇힌공기량과 배합설계 참고표의 공기량과의 차이가 나면 공기량의 차이에 대한 잔골재율과 단위수량을 보정해줘야 합니다.
혹시라도 이해가 안되면 다시 질문하시기 바랍니다
열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