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진도관리 자원배당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2회대비]토목기사실기 정규이론 종합반(단기완성) > 한웅규
글쓴이 히*크 등록일 2018.03.29 답변상태 답변완료
  • 진도 관리 떄문에 살짝 햇갈려서 그런데 일정계산하고 이벤트에다가 전진계산 한 값과 역진 계산한 값을 쓰잔아요.. 근데 전진계산한 값하고 역진 계산한값이 정확히 무 엇을 뜻 하는지 잘 모르겟습니다(EST, LFT를 나태낸건가요..?) 2. 자원배당에서 CP를먼저 구하고 표에그리는 거 까지는 알겠는데 그다음에 작성순서를 잘모르겟습니다. 376p 보면 최조개시꺠나 최지개시때 E가 C위에 표시되있는데 A위나 A옆에 오도록 그리면 안되나요? 그리고 377P 4단계에서 F를 C위나 E위에 넣어도 제한인원수 7일 넘지 않는데 왜 G옆에 그리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수정네트워크 작성시 왜 G가F의 선행작업이 되도록 그리느지 이해가 가지않습니다.
  • 한웅규 |(2018.03.30 15:54)

    안녕하십니까 공정관리를 강의하고 있는 한웅규입니다.

     

    진도관리에서 일정계산은 그 작업의 시작일과 종료일을 나타내게 됩니다. 일반적인 네트워크 공정표에서 하는 일정계산처럼 전진계산할 때 일수 더하고 복수의 작업의 생기면 큰값을 기재하고 역진계산할 때 일수 빼고 복수의 작업의 생기면 작은 값을 기재하게 됩니다.

     

    일정계산이 다 끝난 후에는 진도관리 시점에서 잔여작업량을 기준으로 네트워크 일정계산을 하게 되며 잔여소요일수가 당초 공기보다 지연되고 있는 경로를 찾아내시면 됩니다.

     

    EST산적표에서 E가 C위에 표시되는 이유는 네트워크 공정표에서 E작업은 B작업의 후속작업이므로 B작업뒤로 그리게 되는 것이며, F작업을 17일 이후로 배치하는 이유는 EST산적표와 LST산적표를 잘 보시면 F작업은 가장 빨리 시작하는 일수가 11일이며 가장 늦게 시작하는 일수가 16일로 확인되므로 11일과 16일 구간을 벗어나면 안됩니다.

    다만 인원제한선에서 7명이 기준이므로 11일과 16일 구간에 F작업을 배치하면 인원제한선이 8명이 되므로 문제조건에 따라 인원을 7명으로 맞추기 위해 일수가 하루가 더 증가되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A작업은 0일부터 6일구간에 있어야 하며, C작업은 3일부터 11일 사이구간에 E작업은 5일부터 11일 구간에 있어야 합니다.

     

    다시 한번 풀어보시고 이해안되시면 게시판에 질의 부탁드리겠습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