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그 전에 질문 올린 학생입니다. 다시 질문 드립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토목기사필기 종합반(학원 Live) > 박광진
글쓴이 이*현 등록일 2018.04.11 답변상태 답변완료
  • https://civil.inup.co.kr/post/read.jsp?id=14266&page=4

     

    여기서 흙이 균열이 일어나 위의 인장응력은 무시하며

    위의 상재토압은 고려하라고 했을 경우에 질문 다시 드립니다.

     

    즉 교수님께서 답변해주신 것에서 제일 마지막 부분인  5. 부분입니다

     

    위쪽에 인장균열이 무시되서 사라진다고 하더라도

    아래쪽 인장균열은 무시되지 않고 고려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5. 인장균열 위의 토압은 무시하고 상재하중으로 고려하여 계산하시오

    에서는 아래쪽에 흙의 주동압과 상재하중 압력만 고려되어 있고

    인장응력은 고려되어 있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이 부분이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ㅠㅠ

  • 박광진 |(2018.04.11 10:08)

    인장균열이 발생(=고려)되는 경우 인장균열은 옹벽배면의 지표면부터 주동토압이 0이 되는 점까지(점착고 또는 인장균열깊이 만큼) 발생합니다

     

    인장균열깊이(점착고) 아래로는 인장균열이 발생되지 않습니다

     

     

    인장균열이 발생(=인장균열을 고려)하는 경우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을 구하는 방법은 2가지입니다

     

    첫번째 방법

     

    인장균열이 발생하면 지표면부터 인장균열깊이까지는 옹벽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 부분의 토압은 무시하고, 그 아래 부분의 토압만이 옹벽에 작용하는 것으로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두번째 방법

     

    지표면부터 인장균열깊이(=점착고) 까지의 흙의 무게를 상재하중으로 간주하고, 또한 그 지점(주동토압이 0이 되는 점)부터 옹벽 저면까지 작용하는 점착력에 의한 인장력(=점착력에 의한 토압감소부분)을 무시하고 토압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두번째 방법에서 님의 생각처럼 인장균열을 고려하더라도 그 지점(주동토압이 0이 되는 점)부터 옹벽 저면까지에 작용하는 점착력에 의한 인장력(=점착력에 의한 토압감소부분)이 조금은 있겠지만 이것을 무시하고 토압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충분한 답변이 되었나요?

     

    열공하세요~~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