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1) 문제에서 "8톤 덤프트럭" 이라고 주어지면 본바닥토량 기준으로 8t 인 게 맞나요?
아래 문제 풀이를 보면, 15번 (가)의 경우 주어진 덤프트럭의 적재량 8톤을 본바닥 토량으로 보고 토량환산을 따로 하지 않았습니다.


12번 (나)의 경우도 15톤에 1.25를 곱해 느슨한 상태로 만들고, 공식에서 다시 본바닥 상태로 환산한 것을 보면 15톤은 본바닥 기준인 것 같구요..

그런데 아래 3번 (나) 에서는 덤프트럭 "1대에 12m^3" 를 느슨한 상태의 토량으로 보고, 운반토량에 L을 곱하여 전체를 느슨한 상태로 통일하여 답을 구하고 있습니다. 차이가 무엇인가요?ㅠ

Q.2) 풀이들을 보면 덤프트럭과 달리 불도저나 백호, 버킷 등의 주어진 용량은 일관되게 느슨한 상태로 보고 계산을 하더라구요..
위의 15번 문제의 (다) 를 보면 주어진 버킷용량 0.9m^3을 느슨한 상태로 보고 공식에서 1/L을 곱해줬구,
또 아래의 7번 문제도 불도저의 1회 작업량 3.8m^3도 느슨한 상태로 보고 1/L을 해줬구요..

덤프트럭과 비교했을 때 기준이 무엇인가요?ㅠㅠ 어떤 경우에 본바닥 상태로 보거나 느슨한 상태로 보아야 하나요?
문제에서 기계의 용량이 주어졌을 때, 이것을 본바닥 토량 기준으로 볼지, 느슨한 토량을 볼지를 어떻게 결정할지 모르겠습니다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