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침하량 산정식에서
H2 부분은 지하수가 있는 모래 부분인데 감마sat이 아니라 감마sub여야 되는거 아닌가요?그리고 초기 유효연직압력을 구하는 식에서
각 H1 H2 H3가 어떤건 H그대로 쓰고 어떤건 H/2으로 쓰이는데 왜 그런것인지 궁금합니다.그에다른 문제로 1-128p 6번에 압밀침하량을 구할때 H에 대해 점토층 중간에서 H/2를 안넣고 H(5m)를 넣으면서
10번 11번 12번과 같은 문제에서는 점토에서는 H/2 를 넣고 모래에서는 또 안넣고
기준을 모르겠습니다..
압밀침하량 공식에서 포화구간은 수중단위중량과 해당 토층의 깊이를 곱해서 계산합니다.
압밀침하량 공식의 P1과 P2는 점토층 중앙단면에서의 유효연직응력을 구해서 대입해야 하므로 점토층 두께의 1/2을 곱해줘야 합니다.
압밀침하량 공식의 우변에 있는 H는 배수조건(일면배수 또는 양면배수)에 상관없이 점토층(또는 압밀층) 전체두께를 대입해야 합니다.
토목기사 실기 학원 라이브 강의 중 토질공 단원 중 압밀 파트를 다시 정리하기 바랍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