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수리수문학을 강의하고 있는 한웅규입니다.
질문이 추상적이라 전에 질의해주셨던 벤츄리미터에 대한 식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벤츄리미터는 관수로내의 도중에 단면 축소부를 두어서 단면간의 수두차 H를 측정하여 유량을 계산하는 기구로서 베르누이방정식을 대입하면 단면1과 2가 수평으로 놓여져 있으므로
V12/2g+p1/ω = V22/2g+p2/ω 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연속방정식 A1V1=A2V2이므로 Q=(A1A2/√(A12-A22))√2gH
실제적인 유량계산에서는 단면 축소 및 확대에 대한 에너지손실이 발생하므로 보정계수C를 곱해주어야 합니다.
Q=C×(A1A2/√(A12-A22))√2gH
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문제 4번에서 보기 라를 보시면 베나콘트렉타(수축단면)는 베르누이 정리로 인하여 해석할 수 있다는 말도 물론 틀린말은 아니지만 베나콘트텍타는 오리피스에서 말하는 수축단면이므로 오리피스는 베르누이정리로 해석할 수 있다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문제 3번에서 수압 5m에 위에서 가해지는 공기의 압력(2m)까지 더해서 수두로 표시해야 오리피스 단면적까지의 수심을 정확히 표현할 수 있으므로 식에 적용해주게 됩니다.
따뜻한 봄날에 좋은 일만 가득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