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사님께서 답변주신 내용에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배수곡선과 저하곡선은 완경사에서 말고도 급경사에서도 생길수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배수곡선과 저하곡선에 대한 정의를 저렇게 내릴수 있는건가요? 급경사에서 저하곡선이 생길경우는 hc>h>h0 , Fr>1 이지 않나요..? 저하곡선과 배수곡선이 너무 헷갈립니다. 배수곡선 또한 완경사와 급경사에서 h가 가장 클때와 h가 가장 작을 때 나눠저서 M1,M3,S1,S3 모두 배수곡선으로 학습했습니다 ㅠㅠㅠ 자세한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그냥 문제에서 배수곡선이라고 한다면 M1 곡선을, 저하곡선이라고 한다면 M2 곡선을 생각하고 문제를 풀면 되는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