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토질역학 간극비 질문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토목(산업)기사필기 시리즈 종합반 > 박광진
글쓴이 박*한 등록일 2018.04.17 답변상태 답변완료
  • 교수님 입자가 크면 간극비가 크기때문에 물이 많이통과하고 그래서 투수계수가 큰걸로 배웠습니다.

    그리고 간극비(e)가 크면 간극률(n)크다는 것도요

    근데 조립토랑 세립토를 구분할 때 조립토는 모래나 자갈로 세립토보다 입경이 크니 간극의 크기가 크고 간극비와 간극률이 큰거 아닌가요 ? 간극비와 간극률이 크기때문에 투수성이 큰거 아닌가요 ?
    근데 교제에는 조립토가 간극률이 작고 세립토가 간극률이  크다고 나와있네요 .. 간극률이 큰거는 느슨하다는건데 ... 갑자기 머릿속이 뒤엉켜서 해결이 안됩니다 ㅠㅠ 
    도와주세요 . . 어디가 잘못이해하고잇는건지 설명부탁드립니다

     

    추가질문) 모세관높이에서 hc는 토질의 입경(D)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입경이 크면 모세관높이가 줄어들고 그말은 즉 물이 조금밖에 못올라간다는 건데 여기서 궁금한게 입경이 크면 간극의 크기때문에 물이 더 잘 빠져나가야하는거 아닌가요 ? ?ㅠㅠ

    질문이 너무 난잡해서 죄송합니다

  • 박광진 |(2018.04.18 10:00)

    [답변 1]

     

    조립토와 세립토의 간극의 크기와 간극비(또는 간극률)의 대소관계는 수험생들이 가장 혼돈을 하는 내용입니다

     

    큰 입자(조립토)에 의해 생긴 간극의 크기가 작은 입자(세립토)에 의해 생긴 간극의 크기보다 큽니다

     

     

    예를 들어 동일한 크기의 2개의 화분 속에 하나는 조립토(모래나 자갈)를 넣고, 또 하나는 세립토(실트나 점토)를 넣은 다음 물을 부으면 조립토를 채운 화분 밑의 구멍으로 물이 먼저 세어 나옵니다

     

    이것은 조립토가 세립토보다 간극의 크기가 커서 물이 빨리 빠져 나오는 것도 있지만 물이 흘러가는 전체 길이(=유로의 길이, 직선거리가 아님)가 세립토보다 조립토가 훨씬 짧기 때문에 물이 빨리 빠져 나오는 겁니다

     

    따라서 조립토가 세립토보다 투수성이 좋아서 투수계수가 큽니다

     

     

    세립토는 자기 주변의 간극 속에 있는 물을 잡아 당겨 자기 표면에 달라 붙게 해서 물을 보유하는 능력이 조립토보다 매우 큽니다 

     

    조립토 한 개의 공간 안에 조립토보다 작은 세립토를 채워 넣은 경우 빈 공간이 많습니다

     

    조립토보다 세립토가 입자가 훨씬 작기 때문에 동일한 공간 속에 있는 입자들의 노출된 표면적이 조립토보다 세립토가 훨씬 많고 간극 속에 있는 물을 보다 많이 입자 표면에 달라 붙게 할 수 있는 능력이 큽니다 

     

    따라서 세립토가 조립토보다 토립자의 부피에 비해서 간극이 차지하는 비율이 더 많으므로 간극비나 간극률은 조립토보다 세립토가 큽니다

     

    <결론>

    간극의 크기 : 조립토 > 세립토

     

    간극비(또는 간극률) : 조립토 < 세립토

     

     

     

    [답변 2] 

     

    모세관 높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 하나는 유리관의 직경입니다

     

    모세관 높이와 유리관의 직경은 반비례합니다

     

    토질역학에서는 유리관의 직경에 해당하는 것이 입자의 크기(=입경) 또는 간극의 크기 입니다

     

    조립토는 세립토보다 입경이 크고 또한 간극의 크기가 큽니다

     

    중력 반대 방향으로 간극 사이를 통해 물이 모세관 높이까지 기어 올라가는 것은 수면의 접선방향으로 작용하는 표면장력의 중력반대방향 성분의 총 합력때문입니다

     

    중력 반대방향으로 물기둥을 끌고 기어 올라가려는 힘은 일정합니다

     

    일정한 힘으로 끌고 올라갈 수 있는 물기둥의 무게도 일정합니다

     

    이 평형식은 토질역학 또는 수리학에 나와 있으므로 참고하세요

     

    조립토는 세립토보다 간극의 크기가 크므로 끌려 올라가는 물기둥은 직경이 크도 높이는 작겠죠

     

    세립토는 조립토보다 간극의 크기가 작으므로 끌려 올라가는 물기둥은 직경이 작고 높이는 크겠죠

     

    따라서 입경(또는 간극의 크기)이 큰 조립토가 입경(또는 간극의 크기)이 작은 세립토보다 조금 기어 올라가게 되므로 모세관 높이는 작게 됩니다

     

    최대한 이해하기 쉽도록 예를 들어 설명한다고는 했는데 이해가 되었는지 모르겠네요 

     

    이해가 안되면 다시 질문하기 바랍니다 

     

    열공하세요~~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