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3장 유효응력 p.136 9번 문항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실기 패키지] 프리패스반 / 대학생 프리패스반 > 박광진
글쓴이 임*필 등록일 2025.01.19 답변상태 답변완료
  • 해당 문제 관련하여 질문했던 학생입니다. S가 안주어졌기 때문에 습윤단위중량을 못 구한다는 이해했는데

    그러면 S가 안주어졌기때문에 건조단위중량을 적용한다고 이해해야되는건가요? 반대로 S가 주어진다면 습윤단위중량을 적용해야하는건가요?

    건조단위중량과 습윤단위중량 중 무엇을 적용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설립하는데 충분한 설명이 되지 못해 다시 질문드립니다. 그리고 사진에서 드렸던 질문인데 모래가 지하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무조건 건조상황인건 아닌 건가요? 

     

  • 박광진 |(2025.01.19 16:50)

    비포화구간(건조상태 또는 습윤상태)에서는 출제자가 주어진 해당구간의 흙의 물성치를 보고 어떤 단위중량을 구할 수 있는가를 보고 건조상태인지 습윤상태인지를 결정하면 됩니다.

     

    이전 답변에서도 설명한 것처럼 비포화구간(건조상태 또는 습윤상태)에서 출제자가 포화도(S)가 주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간극비(e)와 토립자의 비중(Gs)만으로 구할 수 있는 단위중량은 건조단위중량이므로 해당구간을 건조상태로 보고 계산하면 됩니다.

     

    만약 비포화구간(건조상태 또는 습윤상태)에서 포화도(S)가 주어진 경우에는 문제에서 주어진 간극비(e)와 토립자의 비중(Gs)을 이용하여 습윤단위중량을 구할 수 있으므로 해당구간을 습윤상태로 보고  계산하면 됩니다.

     

     

첨부파일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