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포화구간(건조상태 또는 습윤상태)에서는 출제자가 주어진 해당구간의 흙의 물성치를 보고 어떤 단위중량을 구할 수 있는가를 보고 건조상태인지 습윤상태인지를 결정하면 됩니다.
이전 답변에서도 설명한 것처럼 비포화구간(건조상태 또는 습윤상태)에서 출제자가 포화도(S)가 주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간극비(e)와 토립자의 비중(Gs)만으로 구할 수 있는 단위중량은 건조단위중량이므로 해당구간을 건조상태로 보고 계산하면 됩니다.
만약 비포화구간(건조상태 또는 습윤상태)에서 포화도(S)가 주어진 경우에는 문제에서 주어진 간극비(e)와 토립자의 비중(Gs)을 이용하여 습윤단위중량을 구할 수 있으므로 해당구간을 습윤상태로 보고 계산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