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등변분포하중에 대한 공액보는 탄성하중이 3차곡선이므로 수학적인 논리전개가 굉장히 까다롭고 긴 과정이 요구됩니다.
휨변형을 구하는 해법이 6가지 정도아 있는데, 등변분포하중에 대해 공액보를 적용하는 것이 부적당하다는 의미가 됩니다.
토목기사시험에서도 묻지 않고, 일반적인 국내외의 유명 교과서들에서 등변분포하중에 대한 공액보를 다루지 않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하중도를 통한 A위치로부터 우측 x위치에 대한 휨모멘트 M에 대한 식을 세우면 x에 대한 3차식이 되고,
처짐곡선 미분방정식을 이용하여 처짐각과 처짐을 구하는 것이 오히려 간명한 방법이 되며,
x에 대한 4차함수식인 처짐각식이 0인 x의 위치를 찾고,
x에 대한 5차함수식인 처짐식에 x값을 대입하면 최대처짐이 계산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