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쭤보고 싶은게 있어서 작성해봅니다
거푸집을 구할때 예를 들면 반중력식 교대일때
사면 45도를 피타고라스로 풀어서 계산하면 보통 소수점 한 5자리이상 나오는데 이걸 셋쨰자리까지 풀이하는거랑 넷째자리까지 해서 풀이하는거랑 실제 정답이랑 조금씩 달라지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혹시나 이해안되실까봐 반중력식 교대 기울기있는 평행사변형을 거푸집으로 구할려고 하면 4.00008 이랑 4.0001 이걸 둘중에 하나를 정해서 나머지 값이랑 더해서 답을 구해야하는데 둘다 같은 답이 나오는게 아니라 해답지랑 다른 값이 나옵니다
2017년 4회차 13번 반중력식 교대 거푸집량 문제에서도 217.758이 답인데 자꾸 217.762가 나옵니다.. 풀이과정에서 저는 4.00008을 4.0001로, 6.1188을 6.120로 풀었는데 소수점을 어떻게 하냐에 따라 답이 달라지는데 다 같은 답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