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1. 뒷부벽식 옹벽 및 앞부벽식 옹벽의 W1 : A-A단면도에서 산출하면 됩니다.
1) A-A단면도의 부벽의 중심선에서 부벽중심선까지 3500 구간에서 직접세는 경우: 맨 앞의 점선 1/2개, 맨 끝의 점선 1/2개로 세면 됩니다.
복배근이므로 2배를 하는 것 잊지 마십시요.
2) A-A단면도의 부벽의 중심선에서 부벽중심선까지 3500 구간의 치수기입을 이용하는 경우
• 단위 길이(3500mm)방향으로 배근되는 철근의 수량은 칸수가 됩니다.
• 뒷부벽식옹벽의 치수기입을 보면 : 4@200, 9@300, 4@200,
W1칸수= (4칸/2)+9칸+ (4칸/2) =13칸, 여기서 4칸을 2로 나누는 이유는 부벽중심에서 부벽중심까지 산출하기 때문입니다.
∴ W1수량=13×2(복배근)=26개
• 앞부벽식옹벽의 치수기입을 보면 : 5@200, 5@300, 5@200,
W1칸수= (5칸+5칸+ 5칸)까지 =15칸,
∴ W1수량=15×2(복배근)=30개
2. 암거 S1 같은 철근
1) 단위 길이(1000mm)방향으로 배근되는 철근의 수량은 칸수가 됩니다.
2) 그림을 그려서 확인한다면,
• 우선 3m(3000mm)를 S1철근 300간격으로 10칸으로 그렸다고 합시다.
• 그런 다음 직접 세어 보면 맨 앞의 철근 1/2개 ...... 맨 끝의 철근 1/2개 : 10개
• 3m에 10개 배근되므로 1m에는 3.33개가 됩니다. 즉 철근의 수량은 칸수와 같아 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