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보에 해당하는 BMD를 그리고 그려진 도형 넓이를 구해서 전단력(=처짐각)을 구하는 것으로 강의를 이해했습니다.]
위의 생각을
[실제 보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BMD를 그리고, 이것을 탄성하중(M/EI)으로 재하시키고 지지단을 변환시킨 가상의 공액보에서 특정위치의 전단력을 구하는 것은 실제구조물의 해당위치의 처짐각이 된다.]라고 정확히 적용을 해야 혼동이 되지 않습니다.
캔틸레버보의 경우는 한쪽만 지지단이 있으므로 공액보상에서 특정위치의 전단력이 면적계산과 같이 이해할 수는 있겠지만 단순보, 내민보, 겔버보에서는 절대 통용되지 않으므로 원칙적인 적용방법을 지속적으로 반복적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