뒷부벽식 옹벽 등 거푸집의 물량산출 시, 교재 해설에는 간단한 입체도와 함께 거푸집이 들어갈 부분을 선분과 알파벳(A, B, C, D, E, F, G 등)으로 표현을 하고
그 밑에 A면의 거푸집, B면의 거푸집량을 구하고 있는데
혹시 시험장에서는 풀이과정에 입체도가 없는데 A면, B면, C면: 6.6*3.05 등으로 계산과정을 써도 되는건가요? (그림 없이 A면, B면 등의 말이 나와도 되는지 질문드립니다)
콘크리트량 산출의 경우에도 입체도 없이 풀이에
부벽에 들어갈 콘크리트량: ~
벽체 A에 들어갈 콘크리트량: ~
헌치 부분 B에 들어갈 콘크리트량: ~
기초판 C에 들어갈 콘크리트량: ~
총합: ~
이라고 입체도 없이 알파벳을 임의로 사용해도 되는지 질문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