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2-34p 가 ,2-51 9번 ,2-52p 17번 (덤프트럭 질문)
질문유형 기타문의 > 실기시공
글쓴이 김*민 등록일 2025.03.30 답변상태 답변완료
  • 덤프트럭의 연대수를 구하는것에서

    N= 자연상태토량/적재량 으로 표기되어있는데

    제가알기론 흐트러진상태 토량 / 적재량(흐트러진상태) 이지 않나 생각합니다 

    덤프트럭 공식 Q= 60qfE/Cm 인거에서 q를 구하는 공식에서 T/rt*L 인거처럼 적재량은 흐트러진상태이기에 

    덤프트럭 연대수에서 분자는 흐트러진상태 토량 800*L / 분모는 적재량(흐트러진상태) 8/1.75*L 이 아닐까요?

    L이 분자분모에 한번씩 나타나서 생략된거고 1.75가 옆으로 분모의 분모라 옆으로 튀어나온건가요?

    --------------------------------------

    9번 에서 트럭 대수 N = 운반토량/적재량으로 되어있는데 위 문제와 마찬가지로 제가알기론 적재량은 흐트러진상태(운반상태)로 알고 있습니다. 문제에는 4m3 트럭으로 나와있어서 따로 단위중량으로 나눠서 단위변환할 필요는 없겠구나 라고 생각하고 L까지는 곱해줘서 풀었는데 답안에는 그냥 4로만 나눠있어서 의아했습니다. 

    어떨때 적재량에 L을 곱하고 언제 안곱하는지 모르겠습니다.

     

    -----------------------

    17번에서는 적재용량 5m3이 흐트러진상태라고 적혀있는데 이것을 문제만 보고 어떻게 흐트러진상태인지 아닌지 알수 있나요?

    9번과 17번의 공통점은 t톤으로 표시된게 아니라 m3로 표시되었다는것인데... 그것만으로 흐트러진상태라고 보기에는 단순히 무게인지 체적인지 다른것밖에 없는데 그게 토량변화율이 적용되었냐 아니냐는 상관이 없는거 같아서 의아합니다.

  • 홍성협 |(2025.03.31 12:52)

    안녕하십니까? 토목기사 실기 시공을 담당하고 있는 홍성협입니다.

     

    계산문제의 경우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질문하신 문제처럼 트럭의 대수를 계산하는 문제는 다음식들에 의해 계산할 수 있습니다.

     

    1. 트럭의 대수= 작업토량의 중량/트럭의 적재중량

    (이경우는 상태가 변하여도 중량은 변하지 않는다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입니다. 참고로 작업토량의 중량은 본바닥상태의 작업토량에 본바닥상태의 단위중량을 곱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2. 트럭의 대수=작업토량의 체적(느슨한상태)/트럭적재체적(느슨한상태)

    (이방법은 작업토량을 본바닥으로 계산할 경우 L곱하여 느슨한 상태로 환산하고 트럭의 적재체적역시 느슨한 상태로 적용하여 풀이하는 방법입니다.)

     

    3. 트럭의 대수=작업토량의 체적(본바닥상태)/트럭적재체적(본바닥)

    (이방법은 트럭의 적재체적을 구할때 L를 곱하지 않고 본다닥상태로 산출후 풀이하는 방법입니다.)

     

    결론적으로 일반적인 문제의 경우는 어떠한 방법이든 상관없이 적용가능합니다.(각 방법의 공식을 정리하면 모두 같은 공식이 됩니다.)

     

    하지만 해당 문제의 경우는 두종류의 흙으로 구성된 지반으로 출제가 되었으며, 흙의 종류에 따른 단위중량과 토량환산계수값이 다르기 때문에 1번 방법으로 답안을 산출하시는게 좀더 정확한 답을 산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문제의 조건에 덤프트럭은 적재중량만큼 싣는 것으로 한다라는 조건 추가되어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트럭의 적재용량은 느슨한 상태로 적재되기 때문에 느슨한 상태의 용량으로 판단하셔야 합니다. 

     

    몸관리 잘하시고 즐거운하루 보내세요~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