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토목기사 실기 시공파트를 담당하는 박광진 강사입니다.
[질문]
16년 4회 6번과 같이 사토량을 본바닥 토량으로 구할때에는
토량 * (1/C)를 하잖아요?
근데 13년 4회 25번과 같이 성토에 필요한 운반토량을 구할 때에는
토량*(L/C)를 하는 그 차이를 모르겠어요
두가지 모두 다져진 토량을 느슨한 토량으로 바꾸는 것 아닌가요?
[답변]
[한솔 토목기사 실기 2017년판 3-431쪽 06번 문제]
1. 통로박스를 매설하기 위해 굴착해야 할 토량은 구속압력을 받고 있는 본바닥 상태의 토량으로 480(m^3)입니다.
2. 굴착한 후 통로박스를 설치하고 난 다음 원래 지표면까지 되메워야 할 토량은 다져진 상태의 토량으로 480 - 250(통로박스체적) = 230(m^3)입니다.
3. 되메워야 할 다져진 상태의 토량 230(m^3)를 본바닥 상태의 토량으로 환산하면 230*(1/C) = 230*(1/0.8) = 287.5(m^3)입니다.
4. 굴착해 놓은 본바닥 상태의 토량 480(m^3)에서 되메워야 할 본바닥 상태의 토량 287.5(m^3)를 빼면 480-287.5 = 192.5(m^3)가 본바닥 상태의 토량으로 남게 됩니다.
5.그러므로 굴착한 흙 중에서 되메우고 난 후 버려야 할 사토량은 본바닥 상태로 192.5(m^3)가 됩니다.
=======================================================================
[한솔 토목기사 실기 2017년판 3-307쪽 25번 문제]
1. 이 문제는 현재 각 절점의 지반고보다 시공기준면의 표고가 더 높기 때문에 성토를 하는 경우입니다.
2. 사각각주법에 의한 토량공식에서 구한 토량 17,775(m^3)는 성토해야 할 다져진 상태의 토량입니다.
3. 성토해야 할 다져진 상태의 토량 17,775(m^3)을 느슨한 상태의 토량으로 환산하면 17,775*(L/C) = 17,775*(1.25/0.9) = 24,687.5(m^3)입니다.
4. 덤프트럭의 적재함에 실리는 흙의 상태는 느슨한 상태입니다.
5. 덤프트럭 1대의 적재토량 5.56(m^3)은 느슨한 상태의 토량입니다.
6. 덤프트럭 연대수 = {성토에 필요한 느슨한 상태로 환산한 토량}/{덤프트럭 1대의 적재토량} = {24,687.5}/{5.56} = 4,440.2이고 이것을 올림처리해서 4,441(대)가 됩니다.
========================================================================
[토량 관련 문제에서 주의해야 할 사항]
1. 토량 계산 문제에서는 주어진 토량 또는 계산한 토량이 어떤 상태(본바닥 상태, 느슨한 상태, 다져진 상태)인지를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2. 토량을 계산할 때는 토량의 상태가 동일해야 연산이 가능합니다.
충분한 답변이 되었나요?
열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