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토목시공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실기_토목시공 > 홍성협
글쓴이 김*관 등록일 2025.04.05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문제를 풀다가 의문점이 생겨 질문하게 되었습니다.

    책 2권 86p의 18번 문제에서 보울 용적의 평적과 산적이 어떤 의미입니까? 그리고 Q를 100m로 한다는게 무슨뜻입니까? 그리고 커터폭은 무엇을 구할때 사용되며 굴착거리 운반거리 사토거리는 어떻게 구하는 것입니까?

     그리고 책 2권의 94p의 1번문제에서 덤프 소요시간은 T2에 속하는 것입니까 T1에 속하는 것입니까? 그리고 소요시간이라는것이 어떤 시간을 의미하는 것입니까?

    그리고 책 2권의 96P의 7번 문제에서 방법1과 방법2의 정답이 다른데 정답이 복수 정답인가요? 그리고 적재횟수를 구할때 소수점이 있으면 올림해서 풀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방법2를 보면 그냥 그대로 3.51회 쓰던데 상관 없는건가요?

    마지막으로 손수레 운반이나 접지압 견인계수 이런 파트는 강사님께서 강의에서 설명을 안해주셨는데 이부분들은 시험에 안나오고 안봐도 되는 부분인가요?

  • 홍성협 |(2025.04.07 10:52)

    안녕하십니까? 홍성협입니다.

     

    1. 보울의 산적은 보울(흙이 적재되는 공간)의 실제 체적이며, 평적은 평균적으로 적재되는 흙의 체적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산적과 평적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평적=산적 x 적재계수 = 11.05x0.8=9.2m3

     

     

    2. 100m는 문제의 해설그림 처럼 평균 운반 거리를 뜻합니다. 

     

     

    3. 커터폭은 굴착(싣기)거리D가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보울의 용적과 커터폭, 그리고 굴착깊이(해설의 굴착거리 공식 분모에 굴착길이라고 주어져 있는데 굴착깊이로 수정해야함)를 고려하여 굴착(싣기)거리D를 찾을수 있습니다.

    보울의 용적(적재체적)=굴착(싣기)거리D x 굴착면적(커터복x 굴착깊이) 

     

    추가적으로 사토거리 역시 사토두께를 이용하여 굴착(싣기)거리를 산출하는 방법처럼 산출하시면 됩니다.

     

     

    4. 덤프시간은 하차시간(흙을 내리는 시간)을 뜻하며 T1에 포함됩니다.

    또한 소요시간은 작업을 하는데 들어가는 시간을 뜻합니다.

     

     

    5. 96P 7번 문제의 경우 적재횟수를 소수로 표현하셔도 되고, 올림하여 정수로 표현하셔도 되는데 실제 작업을 생각한다면 올림하여 정수로 표현하시는게 좋습니다.

     

    6. 토목기사 실기는 방대한 내용이 다뤄지기 때문에 효율적인 공부를 위해 강의에서는 최근에 자주 출제 되는 문제들을 기준으로 설명 드렸습니다.

    해당 내용들은 무조건 출제가 안된다고 볼수는 없지만 자주출제되는 문제를 먼저 학습하여 정리하고 시간이 되실때 자주 출제되지 않는 문제들을 정리하시는게 좋습니다.

     

    몸관리 잘시고 즐거운하루 보내세요~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