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수리수문학을 강의하고 있는 한웅규입니다.
논란이 있을 수 있는 문제입니다만 설명을 드리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개수로의 흐름이 수심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지 않거나 특정시간동안 변하지 알고 일정하다면 정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심이 변하게 되면 부정류로 정의합니다.
대부분 개수로 흐름문제를 해석할 때는 정류로 가정할 때가 많으며 홍수흐름과 같이 시간에 따라 흐름조건이 급격하게 변하는 경우에는 부정류로 해석하여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등류와 부등류는 정류에 속하지만 정류의 예로 일정한 유량이 흐르는 관내의 흐름을 들 수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관로가 일직선으로 되어 있으면 정상등류가 되지만 만일 밸브 등의 조작으로 인해 관내의 유량이 증가하면 흐름은 부정류가 되고 관로가 일직선으로 되어 있으면 부정등류가 됩니다.
노즐을 통해 유량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노즐을 통과할 때 흐름이 수렴되어 유선이 수렴되므로 부등류가 되고 유량의 변화로 인한 유속의 변화가 발생하므로 부정류가 되어 부정부등류가 됩니다. 하천에서도 홍수류가 통과할경우 부정부등류가 형성되게 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