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토목기사 실기 2025 2권 P.240_15번문제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토목기사실기_2권(토목시공학) > 홍성협
글쓴이 최*림 등록일 2025.06.16 답변상태 답변완료
  • 교수님, 안녕하십니까 강의 듣다가 질문사항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1. 골재 보정을 하여 S = 652.13 kg/㎥, G = 1197.87 kg/㎥ 값을 얻으셨는데

    이때의 S, G는 (현장배합에서의 표면건조 상태)에서의 잔골재량과 굵은골재량이 맞을까요?

     

    2. 단위 잔골재량과 단위 굵은 골재량은 S = 652.13 kg/㎥, G = 1197.87 kg/㎥ 에서 각각의 표면수량을 더하는 것이 이해가 가는데, 현장배합에서의 단위수량을 구할때는 표면수량을 왜 빼주는 건가요? 오히려 시방배합때의 단위수량에서 표면수량만큼 오바되니 덧셈이 되어야 되는 것이 아닌가요?

     

    3. 실제 실기 시험 시, 가. 문항에 대한 계산과정을 쓸 때 저도 교수님처럼

    (1) 골재보정에 관한 그림을 그려서 풀어도 괜찮은가요?, S, G 관련하여 4%, 2% 그림을 그려서 푼 것이 응시자만 아는 풀이라고 채점자에게 오해를 받지 않을까 해서 남겨봅니다...

  • 홍성협 |(2025.06.16 16:10)

    안녕하십니까? 홍성협입니다.

     

    1. 질문하신 내용처럼 S = 652.13 kg/㎥, G = 1197.87 kg/㎥은 시방배합에설 결정한 표건상태의 골재의 양(잔골재: 650kg/㎥, 굵은골재양 1200kg/㎥)을 얻기 위한 현장의 표건건조 상태의 잔골재와 굵은 골재의 양입니다. 

     

    2. 골재의 표면수량은 골재표면에 묻어있는 수량이므로 시방배합의 단위수량에 골재의 표면수가 더해지면 최종 단위수량은 증가 해 버립니다. 그러므로 시방배합에서 결정된 단위수량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골재의 표면수를 빼주어야 합니다.

    그러나 해당문제는 굵은 골재의 표면수율이 음수로 주어져 있기때문에 현장의 골재는 기건상태로 간주하고 표건상태가 되려면 물이 흡수된다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이에 굵은 골재의 표면수(음수)는 단위수량 계산시 흡수되는 물의 양이므로 단위수량 계산시 더해주어야 합니다.

     

    3. 아닙니다. 제가 강의에서 설명드린 방법으로 풀이하셔도 되며, 참고로 20년 동안 제 풀이를 이용하여 문제를 풀이한 훈련생들은 아무 문제 없었습니다.^^

     

    참고적으로 해당문제가 조금 난이도가 있는 문제입니다. 이해가 안되시면 2019년 1회차 기출문제 풀이강의 영상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겁니다.

     

    몸관리 잘하시고 즐거운하루 보내세요~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