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기둥 질문이요!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토목기사 프리패스반(6개월) > 안광호
글쓴이 장*영 등록일 2018.05.24 답변상태 답변완료
  • 응용역학 270쪽 7번문제가 몇가지 부분에서 잘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ㅠㅠ

    풍하중에대한 부분이 이해가 안되는데요!

    풍하중을 집중하중으로 바꾸면 기둥높이 지면에서부터 2m의 높이에서 작용하기때문에 편심거리e는 중심인1.5m에서 떨어진 거리인 0.5m가 되는거 아닌가요??

     

    두번째는 단면계수 부분인데요

    풍하중작용방향이 오른쪽에서 왼쪽방향 화살표로 나와있으면 기둥단면그림에서 10cm길이의 단면에 수직으로 작용한다는의미 아닌가요..? 그러면 단면계수가 12*10^2/6 이 되어야하는거아닌지요ㅠㅠㅠ

     

    세번째는 연직하중과 풍하중 두개의힘이 작용하는데 풍하중은 따로 P/A 의값을 더해주지 않아도 되는건가요???

     

    감사합니다ㅠㅠ~

  • 안광호 |(2018.05.26 11:35)

    안녕하세요,,,

    (1) 풍하중을 그림과 같은 삼각형분포하중으로 계산하고 있습니다.

    삼각형의 형태중심은 긴쪽변의 1/3 위치이며 3m 높이를 갖는 기둥에서는 3* 1/3=1m가 되므로 지면으로부터는 2m의 위치에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상태로 간주합니다.

    높이를 갖는 기둥이 삼각형분포하중에 대해 휨모멘트를 받는 것을 단면계수로 나누면 휨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계산하려고 하는 것입니다.

    (2) 3차원적인 그림을 2차원적인 도면의 형태로 그림을 그리는 한계로 보시면 되며, 그림상에서 억지로 좌향의 화살표를 그려주고 [풍하중작용방향]이라는 언급을 하고 있습니다. 이 의미는 기둥 단면의 정중앙에 점을 찍어보시고 좌향으로 수직하중 P가 이동하는 형태를 연상하시면 기둥단면의 단면계수를 구하기 위한 폭은 10이 되고 높이가 12가 되는 형태입니다.

    (3) 풍하중은 연직하중이 아닌 수평의 횡하중이므로 따로 압축응력을 더해주지 않습니다.

    수평의 횡하중을 받을 때 수직의 기둥부재가 휨응력이 발생되지 압축응력이 작용할리는 없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