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1) 풍하중을 그림과 같은 삼각형분포하중으로 계산하고 있습니다.
삼각형의 형태중심은 긴쪽변의 1/3 위치이며 3m 높이를 갖는 기둥에서는 3* 1/3=1m가 되므로 지면으로부터는 2m의 위치에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상태로 간주합니다.
높이를 갖는 기둥이 삼각형분포하중에 대해 휨모멘트를 받는 것을 단면계수로 나누면 휨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계산하려고 하는 것입니다.
(2) 3차원적인 그림을 2차원적인 도면의 형태로 그림을 그리는 한계로 보시면 되며, 그림상에서 억지로 좌향의 화살표를 그려주고 [풍하중작용방향]이라는 언급을 하고 있습니다. 이 의미는 기둥 단면의 정중앙에 점을 찍어보시고 좌향으로 수직하중 P가 이동하는 형태를 연상하시면 기둥단면의 단면계수를 구하기 위한 폭은 10이 되고 높이가 12가 되는 형태입니다.
(3) 풍하중은 연직하중이 아닌 수평의 횡하중이므로 따로 압축응력을 더해주지 않습니다.
수평의 횡하중을 받을 때 수직의 기둥부재가 휨응력이 발생되지 압축응력이 작용할리는 없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