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수중단위중량과 포화단위중량 사용하는 경우가 정확히 언제인지 구분이 가지를 않습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토목기사실기_1권(지반공사) > 홍성협
글쓴이 전*훈 등록일 2025.07.09 답변상태 답변완료
  • 수중단위중량은 지하수위 아래 있을때 부력으로 인한 물의 수압을 고려하여 사용하고

    포화단위중량은 포화되어 있을 때 사용하는데

    포화되어있다는 말은 즉 공극에 물이 가득 차있다는 말인데 

    주요 질문 . 정확히 어떤 상황에 수중단위중량과 포화단위중량을 사용 해야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질문 1.지반내의 응력을 구할때와 압밀침하량을 구할때 그리고 토압론(포화된부분은 문제에 포화되었음을 알려주는 문구가 있습니다.: 토압론 한정)에 있어서는 지하수위 저면의 부분을 유효응력의 개념으로 바라보기때문에 수중단위 중량을 사용하고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질문 2.그리고 모래층과 점토층에 따라 수중단위중량과 포화단위중량을 사용하는것을 결정하는데 요인이 되는지도궁금합니다.

    질문 3.토압론에 있어서 지표면에 지하수위가 올때 결국에는 포화단위중량을 수중단위중량과 물의 단위 중량으로 나눠서 구분하고 있으므로 결국에 포화단위중량을 사용하는 것인데  
     사면의 안정에서는 지하수위가 지표면과 일치할때 때 수중단위중량을 사용하고 있는 것도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잘모르겠습니다.

    위에 관련된 질문들을 여쭤보고자 질문하게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홍성협 |(2025.07.09 18:46)

    안녕하십니까? 홍성협입니다.

     

    1. 토질역학에서 흙의 강도, 지지력, 침하 등과 같이 토립자에 의해 전달되는 응력은 유효응력입니다.

     

    유효응력은 앞서 설명드렸드시 토립자에 의해 전달되는 응력입니다.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하수위 아래의 흙의 유효응력을 계산할 때는 부력을 고려한 수중단위 중량을 적용합니다. 

     

    2. 토압계산시에는 유효응력에 토압계수를 고려하여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을 계산합니다. 하지만 지하수가 있으면 수중단위 중량을 고려한 유효응력에 토압계수를 고려하여 토압을 계산하고 지하수 역시 옹벽에 수평방향의 압력이 작용하므로 물의 압력을 추가적으로 고려합니다. 

     

    3. 사면의 안정에서는 파괴를 일으키는 주체가 무엇이냐에 따라 단위중량을 다르게 적용합니다. 파괴를 일으키는 힘이 토층의 자중이라면 포화되었을때 포화단위중량을 고려한 자중을 계산하여야 합니다.

     

    질문하신 내용이 이해가 안되시면 필기교재 유효응력 단원을 다시한번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추가적으로 이해가 안되시는 문제나 내용은 관련 문제 또는 내용을 첨부하여 주시면 정확한 답변을 드릴수 있습니다.

     

    또한 관련된 기출문제가 있으시면 해당년도의 기출문제 풀이 강의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더위 조심하시고 즐거운하루 보내세요~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