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트러스 해석의 기본은 구하고자하는 부재를 절단했을 때 절점에서 절단면쪽으로 화살표를 그려놓는 것입니다.
그리고 나서 90번 문제와 같은 사재 D는 복부재이므로 전단력이 생기지 않는다는 조건 V=0을 적용했을 때 경사성분이 어쨌든 상향이므로 중간계산과정에 +가 붙은 것이며 최종적인 결과가 -가 나왔다는 것은 처음의 방향과 반대되는 절점을 향하는 압축재라는 의미입니다.
87번 문제에서 하중작용점 P점에서 B부재는 하향이므로 -부호를 붙이고 계산을 시도합니다. 교재의 해설을 -P - B*sin30 = 0 이라고 해야 정확한 표현입니다.
이 결과값이 -가 나오는 것은 처음의 방향과 반대되는 절점을 향하는 압축재라는 의미입니다.
72번 문제에서 L부재를 수직절단하여 왼쪽을 고려했을 때 하현두번째 절점에서 단면쪽으로 향하는 우측방향의 화살표가 일단 그려집니다.
하현재 L의 부재력을 구하기 위해 상현절점C에서 모멘트를 계산하면 회전력의 방향이 반시계이므로 -의 계산과정이 나타납니다.
다시 한번 정리해서 강조해보면,,,
트러스 해석의 기본은 구하고자하는 부재를 절단했을 때 절점에서 절단면쪽으로 화살표를 그려놓는 것입니다.
복부재를 구할 때는 V=0이라는 조건을 적용하는 것이므로 중간계산과정에서 하향의 화살표면 -, 상향의 화살표면 +입니다.
현재를 구할 때는 M=0이라는 조건을 적용하는 것이므로 중간계산과정에서 구하고자 하는 위치에서 시계회전이면 +, 반시계회전이면 -입니다.
복부재든 현재든 최종 결과값이 +면 가정된 방향이 맞는 인장재, -이면 가정된 방향이 반대인 절점을 향하는 압축재라고 기본원칙을 잘 숙지해서 문제를 다시 해결해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