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토목기사 필기 토잘및 기초 9장 출제예상문제 47번 질문드립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토질 및 기초 > 박광진
글쓴이 양*준 등록일 2018.06.10 답변상태 답변완료
  • 여기서 쓰인공식이 skempton 공식과 비슷하긴 한데 앞의 9단원2장의 개념부분에서의 skempton과는 다르게 생겼고 Nc는 왜 9를 썼으며Nq를 왜 0으로 썻는지 궁금합니다. 

  • 박광진 |(2018.06.21 01:46)

    1. 내부마찰각이 0인 포화점성토지반에 말뚝을 박았을 때 비배수상태(하중재하속도 > 압밀속도)인 경우 말뚝 선단부의 단위면적당 선단지지력 q_p = c_u * Nc 으로 구합니다. 그리고, Nc = 9(Meyerhof의 지지력계수)를 사용합니다. 공식처럼 암기해야 합니다.

     

    2.토목기사실기 시공파트 과년도문제(한솔 토목실기 2018년판 1권 1-190쪽 16번문제)에서는 포화된 점성토지반에 정방형 철근 콘크리트말뚝을 박은 경우 지지력계수 Nc와 Nq가 모두 주어지고 말뚝의 극한지지력(전극한지지력)을 구하는 문제가 있습니다.(Nc=9, Nq=1로 주어짐) 이런 경우에는 말뚝 선단부 지반의 단위면적당 선단지지력 qp= c_u*Nc + gamma*L(말뚝의 길이)*N_q 로 구합니다. 만약, 말뚝의 순극한지지력을 구하라고 하면 말뚝 선단부 지반의 단위면적당 선단지지력 qp= c_u*Nc 로 구합니다.

     

    3. 참고로, 얕은기초를 포화점토지반에 설치했을 때 비배수상태(Φ=0)의 얕은기초의 극한지지력을 산정하는 Skempton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q_u = c*Nc + gamma*D_f*Nq

     

    비배수상태일 때는 Φ=0, Nr=0, Nq=1이므로  위의 식은 q_u = c*Nc + gamma*D_f 가 된다.

     

    4. 비배수상태일 때 얕은기초의 극한지지력 공식인 Skempton 공식과  깊은기초(말뚝기초)의 단위면적당 선단지지력을 산정하는 공식이 거의 동일하지만 지지력계수(Nc, Nr, Nq)가 전혀 다릅니다.

     

    과년도문제에서 비배수상태일 때 얕은기초의 극한지지력을 구하는 문제와 말뚝기초의 단위면적당 선단지지력을 구하는 문제들을 구분해서 개념정리를 잘해야 합니다. 

     

    열공하세요~~

첨부파일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