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극수압을 구하는 방법은 문제마다 약간씩 다릅니다.
1. 물이 흐르지 않는 정수압상태인 경우의 간극수압=(물의 단위중량)*(지하수면으로부터 간극수압을 구하는 지점까지의 연직높이)를 곱해주면 됩니다.
2. 모세관현상이 일어난 경우의 문제에서는 제가 강의에서 설명한 것처럼 간극수압분포도를 그려서 구하는 것이 좋다고 했습니다.
3. 물이 흐르는 경우(상향침투 또는 하향침투)의 간극수압= (물의 단위중량)*(간극수압을 구하고자 하는 지점의 압력수두) 로 구해야 합니다. 이 내용은 제가 온라인강의 토질및기초 4장 흙의 투수성과 동해 단원에서 상향침투할 때 설명한 내용이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습윤상태에서는 간극 속에 물이 존재하지만 포화상태와 달리 물이 연속적이지 않으므로 간극수압은 건조상태와 마찬가지로 0으로 간주합니다. 포화상태인 경우에는 간극 속에 있는 물이 연속이기 때문에 물입자 사이로 전달되는 간극수압은 깊이에 비례해서 증가합니다.
5. 공극수압계(=간극수압계=피에조미터)는 지표면 아래 임의의 지점의 간극 속에 있는 물입자에 작용하는 압력의 크기(=압력수두)를 시각적으로 측정하는 계측기입니다. 해당지점의 압력수두는 공극수압계를 꽂은 지점에서부터 공극수압계 내의 수면까지의 물기둥의 높이가 됩니다. 이렇게 측정한 압력수두를 간극수압으로 환산하려면 다음과 같습니다.
(간극수압) = (물의 단위중량)*(공극수압계를 꽂은 지점에서부터 공극수압계 내의 수면까지의 물기둥의 높이)
열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