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휨균열을 보강하기위한 인장철근의 간격제한의 식이
1. 300 x 환경(습윤 or 건조) / 이분의삼fy
1. 375 x 환경(습윤 or 건조) / 이분의삼fy -2.5 x인장철근의 피복두께
중 최소를 쓰잖아요.
여기서 알수 있는점은 인장철근의 간격은 환경, fy, 인장철근의 피복두께에 따라 달라진다는건데
1.환경은 습윤할수록 -> 인장철근의 간격이 좁다
2.fy는 철근의 항복강도가 클수록 -> 인장철근의 간격이 좁다
3.인장철근의 피복두께는 피복두께가 클수록 -> 인장철근의 간격이 좁다
인장철근의 간격이 좁은 이유는 휨균열을 더욱 보강하기 위한거니까.
즉, 환경이 습윤할 수록, fy가 클수록(1), 피복두께가 클수록(2) 휨균열에 약하잖아요?
(1,fy가 클수록)같은 경우 91번 (다) 선택지 그리고 78번 (나)선택지를 말하는것인데,
78번 (1)번 선택지가 이해가 안가요. (2,피복두께가 클수록) 휨균열에 약한데, 이것고 틀린것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