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토질에 따른 동해에 관하여질문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토목(산업)기사필기 시리즈 종합반 > 박광진
글쓴이 박*한 등록일 2018.08.10 답변상태 답변완료
  • 선생님 강의때 동상의 원인에대해서 배울 때 지하수가 영하이하로 지속되고, 지하수가 충분하고 또 실트질 흙일 떄라고 하셨었습니다
    근데 책에 공부하다보니 문제에서 실트질 흙이 모관상승고가 크고 투수성도 커서 물분자 이동이 쉬워 두꺼운 빙층이 발달해서 동상이 발생하귀 쉽다고 되었는데

    모관상승고가 커서 동상이 발생하기 쉽다는거는 물의 이동이 쉽기때문에 라고 생각하면되는건가요 ? 
    그럼 점성토는 공극이 작고 투수도 잘 안되서 동해가 잘 안된다고 이해하면되나요?(그럼 점성토는 모세관높이가 작은건가요 ?
    사질토는 입자가 크기때문에 모세관높이가 작아서  치환할 때 사용하는데 점성토는 왜 치환하는 용도로 사용하지않나요 ?

    선생님 항상 너무 친절하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박광진 |(2018.08.10 16:18)

    모세관 높이 공식에 의해 모세관 높이는 유리관의 직경(입경 또는 간극의 크기)에 반비례합니다.

     

    입경(입자의 크기)은 점토가 실트보다 작기 때문에 모세관 높이는 실트보다 점토가 큽니다. 점토가 실트보다 모세관 현상이 발생한 경우 중력반대 방향으로 더 많이 간극을 통해서 물이 많이 기어 올라갑니다.

     

    투수성은 실트가 점토보다 큽니다. 간극 사이를 통해 물이 상대적으로 잘 흐른다는 의미입니다.

     

    동해(또는 동상)는 모세관 높이만 커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고 여러가지 원인(영하 이하의 온도의 지속일수, 모세관높이, 흙의 투수성 등)들이 조합될 때  잘 일어납니다.

     

    동결심도 내의 간극 속에 모세관 현상에 의해 물이 빠르고 많이 공급될 때 아이스렌스(얼음덩어리)가 충분히 커서 팽창을 해야 동해(동상)가 일어납니다.

     

    따라서, 실트가 점토보다 투수성이 크기 때문에 모세관 높이는 상대적으로 작아도 지하수가 간극을 통해서 중력반대방향으로 빨리 동결심도 내로 공급되어 아이스렌스가 생성(얼음덩어리가 충분히 커지게 되어)되어 동해(또는 동상)가 잘 일어나게 됩니다.

     

    자연상태에 존재하는 점토는 모래보다 간극비(=물을 함유할 수 있는 빈 공간)가 크고, 점토입자 주변의 간극 속에 있는 물을 점토입자 표면에 달라붙게 해서 물을 보유하는 능력이 크기 때문에 스폰지와 같은 성질이 매우 큽니다.

     

    그러므로 점토는 모래보다 함수비가 증가하면 부피가 팽창하고, 함수비가 감소하면 부피가 감소하는 성향이 큽니다.

     

    또한 점토는 모래보다 투수성이 낮기 때문에 간극 속에 있는 물을 배수시키기 위해 동일한 하중을 가하더라도 물이 매우 천천히 배수되어 압밀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공기가 길어지므로 공사비가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여러가지 측면에서 점토는 모래보다 단점들이 많습니다.

     

    따라서 시공구간 내에 공학적으로 불안정한 흙(예를 들어, 유기질흙 또는 배수가 잘 안되는 점토)이 있으면 이것을 퍼낸 다음 공학적으로 안정한 흙(모래나 자갈 또는 쇄석 등)으로 치환하면 됩니다.

     

    충분한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열공하세요~~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