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측량학질문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토목기사 프리패스반(1년) > 고길용
글쓴이 염*석 등록일 2018.08.14 답변상태 답변완료
  • 어제 질문드린것 다시 질문 드립니다.....죄송합니다.  15년 4회 9번

    잘이해는 하셨는데 결정적으로 등고선 간격이란 높이차이를 말하는 것이고

    그림에서 하늘에서본 것을 등고선으로 표현한 것이므로 등고선 간격은 삼각형에서

    x가 보이는것이 아니라 y가 보이는 것입니다.

    즉 등고선에서 x를 y로 바꾸시면 이해가 되실듯 합니다. 

    교수님께서 답변주신 것인데

     

    첫번째 질문!

    등고선 간격이란 높이차이를 말하는 것이고  이거와   등고선 간격은 삼각형에서

    x가 보이는것이 아니라 y가 보이는 것입니다.  이거는 다른말 아닌가요??

    등고선 간격이 높이 차이인데 그럼 삼각형에서 높이 즉 x 아닌가요?

     

    두번째 질문!

    등고선 간격이 주곡선 간격이 맞는건가요?

     

    세번째 질문!

    저는 9번 문제를 보고 

    (저는 현재 주곡선 간격을 삼각형에서 밑변이라고 생각하고있습니다.) 

    주곡선거리 10m  ---> 삼각형 밑변 거리 10m

    경사 10% 이므로 ----> 높이는 1m

    주곡선간 도상거리는 10/25000  이렇게 풀어야 되는거 아닌가요?

    저는 왜 10m가 높이로 가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 고길용 |(2018.08.15 18:40)

    안녕하세요~ 고길용입니다.

    설명이 부족했나 봅니다. 예를들어 높이가 100m인 뾰족한 산이 있다고 가정합니다. 이산을 1/50,000 지형도로 표현하려면 등고선 간격은 50000/2500=20m 간격이므로 등고선은 20m 40m 60m 80m 100m로 원형등고선 5개가 나오지요  그러면 등고선 사이의 간격은 높이를 의미하는것이 아니라 높이 20m와 40m사이의 하늘에서 보는 삼각형 그림상의 y를 의미합니다. x가 아니라

    예를들어 3번째 등고선상에 A점이 있고 4번째 등고선상에 B점이 있다면, 삼각형에서 삼각형에서 높은점이(A) 낮은 오른쪽이 (B)점이 되므로 AB의 높이차이는 20m x가되고 AB의 수평거리는 Y가 되므로 등고선간의 거리는 Y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이해가 안되시면 또 글올려주시면 그림으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첨부파일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