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수리수문학을 강의하고 있는 한웅규입니다.
첫번째 질문에서 티센다각형을 작도하는 방법은 각 인접관측소끼리 삼각형이 되도록 직선으로 연결한 다음 관측소 연결 직선을 수직이등분선하여 서로 연결시키면 관측소 주위로 다각형이 형성되어 첨부해주신 밑에 그림이 됩니다.
가운데 정사각형 면적은 10×10=100m2, 사다리꼴 4개의 면적은 (40+10)/2
×15 =375m2 이 됩니다.
{75×80+375×60+375×90+375×70)+100×100}/40×40 = 76.56mm
각 면적에 해당하는 강우량을 곱하고 더하시고 면적의 합으로 나누시면 평균강우량을 산정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 질문은 평균강우량 산정법에서 등우선법에 의한 설명으로 등우선법의 정의는 임의의 강수량에 대하여 같은 값을 가지는 지점을 연결하여 그린 선을 등우선이라 하며, 이러한 등우선을 나타낸 지도를 등우선도라고 합니다.
등우량선을 그리는 경우 간격, 폐곡선에 의하여 비가 내리는 것, 지형의 영향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하며, 등우량선은 일반적으로 강수량의 시간적 변화나 강우의 지역적인 분포를 알기 위하여 작성을 하며 강우를 관측하지 못한 지역 혹은 관측하지 못한 기간의 강수량을 추정 및 예측하는 것에도 사용이 됩니다.
여러 가지 지형 요소의 함수를 이용할 시 해발 고도, 기복량, 노출량, 곡방향 등의 요소를 적용하여 지형도에서 추측에 의한 등우량선을 작성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지형도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