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티센망 질문입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토목(산업)기사필기 시리즈 종합반 > 한웅규
글쓴이 박*한 등록일 2018.09.03 답변상태 답변완료
  •  

    질문1

    티센망의 면적을 분할할 때 관측점과 관측점 사이의 중간선을 그어서 면적을 분할하는건가요 ? 수업때 필기내용 보니까 해당내용은 없어서 질문드립니다. 그리고 이문제 해설이 어떻게 저렇게 된건지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질문2

    해당 캡쳐랑은 상관없는 질문입니다 ; ;

    티센망은 지형에대한 영향을 고려하지 못하기때문에 지형도는 없어도되고 
    등우선법은 산악의 영향을 고려하니까 지형도가 필요한건가요 ? 
    아니면 둘다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인가요 ? 

    감사합니다 선생님!

     

  • 한웅규 |(2018.09.03 16:58)

    안녕하십니까 수리수문학을 강의하고 있는 한웅규입니다.

     

    첫번째 질문에서 티센다각형을 작도하는 방법은 각 인접관측소끼리 삼각형이 되도록 직선으로 연결한 다음 관측소 연결 직선을 수직이등분선하여 서로 연결시키면 관측소 주위로 다각형이 형성되어 첨부해주신 밑에 그림이 됩니다.

     

    가운데 정사각형 면적은 10×10=100m2, 사다리꼴 4개의 면적은 (40+10)/2

     ×15 =375m2  이 됩니다.

     

    {75×80+375×60+375×90+375×70)+100×100}/40×40 = 76.56mm

    각 면적에 해당하는 강우량을 곱하고 더하시고 면적의 합으로 나누시면 평균강우량을 산정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 질문은 평균강우량 산정법에서 등우선법에 의한 설명으로 등우선법의 정의는 임의의 강수량에 대하여 같은 값을 가지는 지점을 연결하여 그린 선을 등우선이라 하며, 이러한 등우선을 나타낸 지도를 등우선도라고 합니다.

    등우량선을 그리는 경우 간격, 폐곡선에 의하여 비가 내리는 것, 지형의 영향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하며, 등우량선은 일반적으로 강수량의 시간적 변화나 강우의 지역적인 분포를 알기 위하여 작성을 하며 강우를 관측하지 못한 지역 혹은 관측하지 못한 기간의 강수량을 추정 및 예측하는 것에도 사용이 됩니다.

    여러 가지 지형 요소의 함수를 이용할 시 해발 고도, 기복량, 노출량, 곡방향 등의 요소를 적용하여 지형도에서 추측에 의한 등우량선을 작성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지형도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첨부파일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