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수리수문학을 강의하고 있는 한웅규입니다.
두 수조를 두개 이상의 다른 다면을 가지고 있는 관수로를 서로 교차되게 연결할 때의 관수로를 복합관수로라 하며 하나의 관수로가 분류되었다가 다시 합류하는 관수로를 병렬관수로라고 합니다.
한쪽이 손실수두가 크게 되면 커진 손실수두로 인해 저항이 증가하여 다른쪽 관수로로의 흐름이 증가되게 되고 그러면 흐름이 증가한 쪽은 유속의 증가로 손실수두가 증가하게 됩니다.
흐름이 즐어든 쪽은 유속이 감소되어 손실수두가 감소하면서 흐름이 증가되었던 쪽은 유량이 감소(유속감소), 흐름이 감소되었던 쪽은 유량이 증가(유속증가)되어 결국 평형을 이루게 됩니다.
다시 말해 손실수두 공식(hL=f ×l/d ×v2/2g)에서 정리해보면 손실수두는 관의 길이와 유속에 비례하고 직경에 반비례하게 됩니다.
하지만 병렬관수로에서 분기전 혹은 합류후의 유량이 같고 분기점과 합류점을 연결하는 각 분기관들의 손실수두는 모두 같게 됩니다.
따라서 관의 길이에 상관없이 LA, LB에서 발생하는 손실수두는 같게 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