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토질역학 질문이 있습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토질 및 기초 > 박광진
글쓴이 이*현 등록일 2018.10.26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제가 소성지수가 크면 압축성이 크다 라는게 머릿속에 이미지로 안떠올라서 고민입니다
    소성상태가 긴 세립토는 소성상태가 짧은 세립토보다 물을 더 많이 보유하려고 한다 그래서 두 세립토에 동일한 유효상재하중을 가하면 소성상태가 긴 흙이 더 많이 함수비가 떨어지고 부피 감소도 더 크다 이렇게 이해했습니다
    더 자세히 생각하면 소성상태가 긴 세립토는 짧은 것보다 체적변화계수가 더 크기때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소성지수가 큰 세립토는 연경도 그래프가 소성지수가 작은 세립토보다 더 큰걸까요?... 특정 흙마다 연경도 그래프가 다 다른건가요?... 궁금하네요...
     
    그리고 흙의 팽창성이라는게 함수비는 똑같은데 부피가 더 크다는 소린지 (흙의 구조가 바꼈가는 소린지...) 아님 물을 더 많이 가질려고 해서 물의 양의 차이때문에 팽창성의 차이가 나는건지 이해가 안갑니다
  • 박광진 |(2018.10.27 09:51)

    [답변]

     

    세립토인 경우 특히 점착력이 큰 점토나 점토광물은 입경도 다르고 흙의 구조도 다양합니다.

     

    입경이 작을수록 간극 속에 있는 물을 입자 표면에 흡착시켜서 물을 보유하는 성질이 큽니다.

     

    또한 소성한계나 액성한계 그리고 소성지수 등이 다릅니다.

     

    입경이 작을수록 소성지수가 더 큽니다. 이것은 소성상태에 존재할 수 있는 함수비의 영역이 보다 넓다는 의미입니다.

     

    입경이 작을수록 함수비의 변화에 따른 팽창수축성이 더 큽니다.

     

    입경이 작을수록 일정한 부피의 흙 속에 빈 공간이 더 많습니다. 간극비가 크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므로 함수비의 변화에 따른 팽창수축성이 크게 되고 압축침하량도 큽니다.

     

    제가 강의한 온라인강의  토질및기초 1장 연경도, 활성도 및 3대 주요점토광물 부분을 다시 보기 바랍니다.

     

     

    열공하세요~~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