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문제가 수평분력의 작용점을 구하라고 하면(14년도 기출처럼) hG=2H/3를 사용하면 되는데, 밑의 문제처럼 전수압의 작용점을 구하는 경우는 수평분력 작용점 공식 hG=2H/3보다 밑으로 내려가더라구요. 그러면 전수압 전체를 봤을 때 수평분력의 작용점이 수평분력만 봤을 때의 작용점이랑 달라진다는 건데 이부분이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한웅규 |(2018.11.07 19:00)
안녕하십니까 수리수문학을 강의하고 있는 한웅규입니다.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그림을 그려서 밑에 첨부해드렸으니 그림 보시면서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결론은 교재의 해설처럼 복잡하게 푸시지 마시고 수평분력의 작용점 위치를 구하라고 하면 2/3h로 푸시면 되고 전수압의 작용점 위치를 구하라고 하면 지름이 변해도 Θ는 38.1º 로 일정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