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1) 특정의 위치에서 전단력이나 휨모멘트의 숫자가 기준선의 위아래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가령, 64페이지의 예제14번의 SFD에서 A점으로부터 우측으로 6m 위치의 전단력의 크기는 +전단쪽으로 10, -전단쪽으로 110이 표현됩니다.
이때 이 위치의 최대전단력은 110이라고 이야기 됩니다.
비슷하게, 65페이지의 예제15번의 BMD에서 A점으로부터 우측으로 4m 위치의 휨모멘트의 크기는 -휨쪽으로는 60, +휨쪽으로는 90으로 표현됩니다.
이때 이 위치의 최대휨모멘트는 90이라고 이야기 됩니다.
반면, 어떤 위치에서든 전단력이나 휨모멘트를 계산할 때 그 위치를 수직절단하여 좌측을 계산하든 우측을 계산하든 결과값이 항상 동일하게 나타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2) 해당 문제는 수직하중과 모멘트하중이 중첩되어 있으므로, 전단력도의 면적이 휨모멘트의 크기와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습니다. 그 이유는 모멘트하중때문이며 이런 경우는 전단력도와 휨모멘트도를 작도해서 살펴보는수 밖에 없습니다.
(3) 69페이지의 12번은 많은 학생들이 질문하는 내용 중의 하나입니다.
힌지점을 H라고 한다면 AH는 불완전단순보, HB는 캔틸레버보입니다.
H점에 작용하는 하중이 불완전단순보만에 작용한다고 보면, A점의 수직반력은 0이고 H절점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수직반력 50을 HB캔틸레버쪽으로 전달하는데 H점에 하향으로 바꿔서 전달시킨다고 해석을 합니다.
H점에 작용하는 하중이 캔틸레버보에 작용한다고 보면, AH불완전단순보는 처음부터 A점의 수직반력도 0이고, 힌지에 걸리는 수직반력도 0이므로 0을 HB캔틸레버쪽으로 전달하는데 H점에 하향의 0으로 바꿔서 전달시킨다고 해석을 한다면 기존의 HB캔틸레버보에 50+0이라는 하향의 하중이 있는 상태가 될 것입니다.
위의 두가지 경우는 같은 경우가 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6번 문제는 ABD내민보와 DC불완전단순보의 조합입니다. D점의 상향의 수직반력 30*6/2=90을 ADH내민보의 D점에 하향의 하중 90으로 바꾸어서 전달시킨다면 ABD내민보는 40kN과 90kN 두개의 수직하중에 대한 내민보 해석을 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