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재질문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토목기사 환급연장반(프리패스) > 안광호
글쓴이 신*연 등록일 2019.02.14 답변상태 답변완료
  • 185페이지 28번에 편심에 의한 모멘트를 고려해야 하는 것은 이해가 가는데 부호가 헷갈립니다

    힘 자체는 양쪽 압축인데 압축 영역에 가해지고 있어서 -+- -> +인가요..?

    그렇다면 아래의 압축 영역 위치에  <- ->가 가해진다면 -++ 15->- 가 되는것인가요?

     

     

    240페이지 15번 해설에서 AB가 +로 되어있는데 아래방향이니까 -가 되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그래서 -250이 나와야하는 것 아닌가요?

     

     

     

    153페이지 9번은 이런문제가 나올때마다 그럼 말씀하신 것처럼 1m씩 옮겨서 다 계산해보아야 하나요??

     

     

     

    91페이지 8번에서 강성도를 구하려면 유연도를 역수로 취해서 구하라고 하셨는데 만약 이문제에서 유연도를 구하라고 한다면 유연도는 강성도를 역수로 취하는 것이 아니라 유연도 식에 그냥 바로 대입해서 풀면 되나요?

     

     

    195페이지 전단흐름 설명하실때 b=1 일때라고 말씀하셨는데 b가 구하려는 부분의 폭을 말하는 것이니까 전단흐름은 단위 폭 1을 말하는 것 아닌가요?

     

     

     

     

  • 안광호 |(2019.02.14 14:09)

    안녕하세요,,,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1) 이 문제는 먼저 다음의 휨에 대한 간단한 개념의 정립이 필요합니다.

    수직의 하중에 대해 중립축을 기점으로 위쪽은 휨압축(-), 아래쪽은 휨인장(+)이 됩니다.

    수평의 압축력에 의해 압축응력(-P/A)이 발생합니다. 그런데 수평의 압축력이 중립축과 편심을 두고 있으므로 부재에 휨응력이 부가적으로 유발되는데, 중립축 상부를 양쪽에서 누르는 형태이므로 수평의 부재는 또한번의 중립축 상부의 압축응력(-)과 중립축하부의 인장응력(+)이 발생됩니다.

    (2) 그렇습니다. AB부재는 압축 250kg을 받습니다. 보기 지문에 -250이 있다면 이것이 정확한 답이지만 -가 압축을 의미하는 지표이므로 힘의 크기만을 묻는 형태의 문제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3) 어떤 귀납적인 결론을 얻기 위한 시행착오(Trial & Error)법이라고 합니다.

    평소에 훈련을 해봤는지를 확인하는 문제 정도이므로 훈련이 되어 있지 않다면 결과적인 의미를 숙지해두셔야겠습니다.

    (4) 그렇습니다. 강성도는 어렵지만, 유연도를 구하는 것이 그만큼 쉽다는 의미입니다.

    (5) 그렇습니다. 단위폭 1의 개념을 도입한 것이며, 다음의 내용도 참조해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