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1) 하중에 따른 휨모멘트도를 그린 후 휨강성EI로 나누어 이것을 탄성하중으로 재치환한 상태의 보를 공액보라고 합니다. 공액보상에서 지점반력을 구한 후에 L/4까지는 무한강성구간이므로 처짐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보고 구간의 탄성하중을 계산하지 않습니다.
(2) 문제의 의도는 두번의 좌굴이 발생된 이후의 상황에서 유효좌굴길이가 긴 쪽이 임계하중일 것이라는 의도이며, K=2를 직접적으로 적용하는 시험문제가 아닙니다.
만약, 일단고정 타단자유가 아닌 양단힌지로 제시하든, 양단고정으로 제시하든, 일단고정 타단힌지로 제시하든 K값을 별도로 고민해서 적용할 필요가 없는 문제라는 것입니다.
(3) 단순보에서 지점반력은 전단력이라는 내용이 성립됩니다.
(4) 교재에는 합성응력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다음의 내용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