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과년도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토목기사 환급연장반(프리패스) > 안광호
글쓴이 신*연 등록일 2019.03.28 답변상태 답변완료
  • 15년도 9월 시행 17번

     

    EI가 무한대인 곳에서 처짐이 발생하지 않는 것은 이해가 가는데 A지점의 반력을 구할때 A  지점으로부터 L/4까지의 하중은 왜 고려 하지 않는 것인가요? 

     

     

    16년도 10월 시행 17번

     

    KL구할때 바닥은 고정, 상단은 자유로운 기둥이므로 K=2를 대입해야하는것 아닌가요? 풀이에는 왜 K=1로 대입되어 있나요?

     

     

    17년도 5월 시행 8번

     

    집중하중이 지점에 맨 왼쪽 지점에 있다고 가정하면 왼쪽지점의 반력이 20 이 되어 보의 어느 지점에서든 전단력을 구하면 아래방형 하중 20과 윗방향 반력 20이 상쇄되어 전단력이 0이되는 것 아닌가요?

     

     

     

    17년 9월 시행 7번

     

    어느부분을 참고하여 문제를 풀어야하나요? 

    합성부재에서의 응력은 교재에 없는 것 같아서요 

  • 안광호 |(2019.04.02 10:16)

    안녕하세요,,,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1) 하중에 따른 휨모멘트도를 그린 후 휨강성EI로 나누어 이것을 탄성하중으로 재치환한 상태의 보를 공액보라고 합니다. 공액보상에서 지점반력을 구한 후에 L/4까지는 무한강성구간이므로 처짐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보고 구간의 탄성하중을 계산하지 않습니다.

    (2) 문제의 의도는 두번의 좌굴이 발생된 이후의 상황에서 유효좌굴길이가 긴 쪽이 임계하중일 것이라는 의도이며, K=2를 직접적으로 적용하는 시험문제가 아닙니다.

    만약, 일단고정 타단자유가 아닌 양단힌지로 제시하든, 양단고정으로 제시하든, 일단고정 타단힌지로 제시하든 K값을 별도로 고민해서 적용할 필요가 없는 문제라는 것입니다.

    (3) 단순보에서 지점반력은 전단력이라는 내용이 성립됩니다.

    (4) 교재에는 합성응력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다음의 내용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