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실기) 15년 1회 15번 / 16년 1회 21번 / 16년 2회 19번 질문드립니다^^
질문유형 기타문의 > 실기시공
글쓴이 김*진 등록일 2019.03.28 답변상태 답변완료
  • Q1. 15년 1회 15번(테르자기 극한지지력)

    구형 기초 1.6m*1.2m라는 단서가 나왔는데 알파,베타의 값을 정할 때 직사각형으로 생각해서 알파=1.0+0.3*B/L,   베타=0.5-0.1*B/L 해서 정해야하는거 아닌가요??? 해설에는 베타값이 0.4로 적혀있어서 정사각형으로 놓고 푼 것 같은데 어떤게 맞는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C=0이란 조건 때문에 첫항은 0이 되어 알파값은 알 수 없었습니다.) 

     

    Q2. 16년 1회 21번(배수구 유무의 주동토압)

    배수구가 없을 경우 왜 수중단위 중량으로 주동토압을 계산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수중단위 중량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또한 오히려 배수구가 설치되어 있을 때 포화단위중량을 쓰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배수구가 있다면 지하수위가 빠져서 없다는 의미인데 왜 포화단위중량을 사용하는건가요???

     

    Q3. 16년 2회 19번(테르자기 극한지지력)

    연약기초라는 말만 주고 폭=1.2m를 주었는데 알파,베타값을 정할 때,

    해설에서는

    Pi_u=0인 점토인 경우 -> 연속기초 a=1.0, b=0.5라고 해설에 적혀있는데

    파이가 영인 점토이면 연속기초라고 보고 테르자기식의 알파,베타를 규정하면 되는건가요?

     

    질문 많이 드려서 죄송합니다!!! 늘 감사합니다.

  • 홍성협 |(2019.03.29 14:56)

    안녕하십니까? 토목기사 실기 토목시공을 강의하고 있는 홍성협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드리겠습니다.

    1. 편심하중을 받는 기초에서는 편심하중으로 인하여 극한지지력을 계산할때 지지하는 기초의 폭 또는 길이가 달라지므로 유효폭과 유표길이를 산정해야합니다.

    문제에서는 1.6x1.2m 구형기초라고 되어있지만 길이 1.6m는 편심하중으로인하여 유효길이가 1.2가 됩니다.

    즉, 구형기초가 아닌 정사각형기초로 접근하여야 하는 문제입니다.

     

    2. 배수구가 없다는 말은 지표면까지 포화된 지반에서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을 계산하라는 것입니다. 토압은 유효응력에 토압계수를 곱하게 되는데 포화된 지반에는 부력이 작용하므로 수중단위 중량을 적용하게 됩니다.

    또한 배수구가 있는 경우 포화는 되어있지만 물이 하향으로  흐르면서 배수가 되므로 하향 침투를 고려하여 수중단위중량이 아닌 포화단위 중량을 적용하게 됩니다.

     

    3.  문제의 해설이 혼란을 줄수 있겠네요~

     알파와 베타는 흙의 종류와 관계없이 기초의 형상을 나타내는 계수 입니다.

    문제의 조건에 연속기초라는 조건이 있으므로 알파=1.0, 베타=0.5을 적용하게 됩니다.

    추가적으로 지지력 계수는 내부마찰각 파이에 의해 결정이 되는데....

    점토인 조건에서는 파이가 0이며, 지지력 계수 Nr이 0이 됩니다.

    이해가 되셨나요?  동영상을 참고하시면 이해가 빠르실겁니다.

    열공하시고 좋은 결과 기대할께요!!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