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토목실기 시공파트를 담당하는 박광진입니다.
[질문 1] 위 문제 풀이에서 형상계수 알파가 빠져있는데, 맞는건지요?
[답변 1]
1. 이 문제는 얕은기초가 아니라 깊은기초인 말뚝기초의 극한지지력(=극한하중)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말뚝의 선단지지력(q_p) 공식은 말뚝이 설치되는 지반에 따라 다음과 같습니다.
(1) 점착력과 내부마찰각이 있는 지반에 말뚝이 설치되는 경우
q_p = c_u * N_c + gamma*D_f*N_q
(2) 내부마찰각이 0도인 포화점성토 지반에 말뚝이 설치되는 경우
q_p = c_u * N_c
2. 깊은기초인 말뚝기초의 선단지지력 공식은 얕은기초의 극한지지력 공식 중의 하나인 Terzaghi의 수정극한지지력 공식의 형태와 유사하지만, 전혀 다른 공식이고 또한 지지력 계수( N_c, N_q)도 전혀 다른 계수입니다. 그리고 말뚝기초의 선단지지력 공식에서는 형상계수(알파와 베타)가 없습니다.
[질문 2] 응력에 면적을 곱하면 극한하중이 되는데요. 문제가 오류인지 문제풀이가 틀린건지요?
문제는 극한지지력을 답으로 구하라고 했는데 답은 극한하중을 구했네요. 이상합니다.
[답변 2]
1. 말뚝기초는 얕은기초에 비해서 기초의 단면 형상이 작기 때문에 단위면적당 지지력(극한지지력 또는 허용지지력)으로 구하지 않고 말뚝 단면 전체에 대한 전하중(극한하중 또는 허용하중)으로 구합니다.
2. 말뚝기초의 지지력 산정 문제에서는 별도의 언급이 없으면 극한지지력 또는 허용지지력은 말뚝단면 전체에 대한 전하중으로 구합니다.
3. 얕은기초의 지지력 산정문제에서 극한지지력과 허용지지력을 구하는 문제는 기초의 단위면적당 지지력인 t/m^2 로 구하고, 극한하중과 허용하중을 구하는 문제는 기초의 전체단면에 대한 지지력인 ton 으로 구합니다.
이해되셨나요?
열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