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E절점에 작용하는 하중P에 의해 DE부재는 인장력이 발생하며 이 크기만큼이 DA에도 발생합니다. 다만 D절점에 외적인 하중이 없으므로 DF부재는 0부재가 됩니다.
GI부재를 수평으로 직선절단해서 아래쪽을 검토하면 JG와 JH가 시작하는 J절점에서 모멘트=0 조건을 적용하면 L지점의 반력이 있으므로 GI는 축방향력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IJ는 J절점에서 해석이 불가능한 상황이고, I절점에서 외적인 하중이 없는 3개의 부재상태이므로 해석이 가능하며 0부재임을 알 수 있습니다.
IK 부재를 수평으로 직선절단해서 아래쪽을 검토하면 KJ와 LJ가 모이고있는 J절점에서 모멘트=0 조건을 적용하면 L지점의 반력이 있으므로 IK는 축방향력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