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공정관리를 강의하고 있는 한웅규입니다.
일반적인 진도관리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작업이 진행되는 도중 완료 작업량과 잔여작업량을 조사한다.
2. 진도관리시점에서 잔여작업량을 기준으로 네트워크 일정계산 실시한다.
3. 잔여공기가 당초 공기보다 지연되고 있는 경로를 찾는다.
4. 이때는 잔여공기를 기준으로 ET계산을 한 다음 당초공기를 최종작업의 LT로 보고 역진계산하여 지연이 되고 있는 경로를 찾는다.
교재 2-378을 참고하시면 공정표 문제에서 다음과 같은 점선부분을 15일째로 진도관리를 하고 각 작업별 잔여공기를 참고하여 비교하셔야 합니다.
일정계산결과 LT가 ET보다 크거나 같아야 정상인자 오히려 ET가 LT보다 크면 그 공정이 공기가 지연되고 있음을 의미하게 됩니다.
3번이벤트와 7번이벤트와 10번 이벤트의 LT값에서 진도관리에 필요한 15일을 빼 주시면 여유일을 산정하며 그 여유일과 문제조건의 산정일을 비교해 주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3~5 구역은 15일부터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15일 진도관리 이후에 잔여공기 3일을 더한 18일부터 계산이 되야 됩니다.
다시 한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