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권 1-203페이지 16번

Df 가 2m인데 1m로 잘못표기된거죠?
계산시 극한지지력 55.80t/m^2 허용하중 74.40t 이 맞나요?
1권 1-203페이지 17번
반복법을 이용하여 2.2m라고 풀이가 되있는데
저는 계산기의 솔브기능을 이용하여 2.19m의 답이 나왔습니다
이런경우는 풀이근거를 어떻게 표현해야할까요?
1권 1-206페이지 27번 문제
이 문제 2회차때 나온 문제인데요
흙의 단위중량의 단위를 kN/m^3 으로 줬던게 기억납니다
만약 2회차 때 나온 kN의 방식대로 푼다면
1t/m^3 = 9.8kN/m^3 이니
rsub = rt - rw = 1.85 - 1 = 0.85 대신
문제에서 주어진 값(단위 kN/m^3) - 9.8kN/m^3 으로 계산하는게 맞는건가요?
r2Df = D1rt + D2rsub 의 rt rsub에도 위의 kN/m^3 의 단위를 사용해서 풀면
알파*C*Nc 항만 t/m^2 의 단위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첫번째 항에도 9.8을 곱해주어
최종 답을 kN/m^2 단위로 쓰는게 맞습니까?
비전공자들은 이런 단위에 익숙하지 않아서 실기복원 풀이에서라도 좀 자세히 다루어 주었으면 했는데 생략되어서 아쉽습니다.
1권 1-207페이지 32번
이 문제는 이해가 잘 안되서 풀이를 자세하게 가르쳐 주셨으면 합니다ㅠㅠ
1권 1-254페이지 16번
말뚝머리 수평변위 구하는 공식에서
힌지와 강점일 때의 공식이 다른데
힌지가 자유 강점이 고정 이라고 생각하면 됩니까?
1권 1-257페이지 23번
최대중심간격 D를 구하는 공식의 L이 15라고 풀이되어 있는데 어딜보고 알수있나요?
누락된것인가요?
1권 1-262페이지 32번
이와 비슷한 문제들을 보면 말뚝의 극한"지지력" / 무리말뚝의 허용"지지력"을 구하라고 쓰여있는데 이 문제에서는 극한"하중" / 허용"하중" 을 구하라고 쓰여있습니다
지지력에 A(면적) 을 곱한것이 하중인게 아닙니까? 기초에서 구하던것 처럼요
하중을 구하라고 되어있는데 지지력을 구하라고 한 다른 문제와 풀이가 같은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1권 1-259페이지의 27번 문제와 1-261페이지 31번 문제 차이
일단 제가 알고있는게 정확한지부터 알고 싶습니다
27번 문제의 +- 를 정하는 부분에서 1번 말뚝이
x는 중앙을 기준으로 왼쪽에 있으므로 -, y는 중앙을 기준으로 위쪽에 있으니 +로 해서
45/9 - 45*0.2*0.5/0.5^2*6 + 45*0.1*0.5/0.5^2*6 로 나온게 맞나요?
공식에서의 x는 y축에서의 말뚝까지의 x방향 거리 인걸로 쓰여있는데
2번째항 분자의 0.5는 -0.5가 되어야 하는게 아닌가요?
31번의 My*x는 제가 이해한 대로 x거리에 -를 붙여 계산했는데 27번 문제는 왜 안붙이는지 알고 싶습니다.
1권 1-319페이지 06번
인장균열을 고려하라 라는데 앞에나오는
2c/r 을 쓰지않고 4c/r을 쓰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1권 1-323페이지 15번
Pa를 구하는 공식에서 H는 사다리꼴과 직사각형의 높이를 합친 3m, Pp를 구하는 공식에서는 직사각형의 높이인 0.6m를 사용했는데 그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만약 사다리꼴만 주어지고 수평활동 안전도를 구하라고 나온다면 Pa와 Pp의 H는 둘다 사다리꼴의 H를 사용하면 되나요?
1권 1-323페이지 16번
지지력에 대한 안전율을 구하는 문제
이제까지 시험에서 e가 B/6 보다 크거나 같았던 문제가 있었나요?
e가 더 클때의 공식이 만약 > qa를 만족하지 못하면 어떻게되나요?
1권 1-326페이지 20번
이것도 2회차에 나왔던 문제입니다
그때는 rsat가 아닌 rt로 줬던것 같습니다
이경우엔 어떻게 해야하나요?
rt와 rsat 관련공식을 못찾겠네요..
1권 1-331페이지 15번문제
6M/bh^2에서 b는 왜 1인가요?
1권 1-331페이지 16번문제
풀이 오류가 있는것 같습니다
안전율 1.10 < 1.2 가 맞나요?
히빙의 우려가 있다 라는 말 대신 안전하지 않다 라고 써도 괜찮나요?
1권 1-392페이지 09번 관련
1자유면과 2자유면의 차이를 알고 싶습니다
Hauser 의 기본식 장약량 L=CW^3 과 표준장약량의 L=g*e*d*f(n)*W^3, L=f(n)/f(no)*Lo 의 공식은 전부 1자유면 기준인가요?
2자유면에선 공식이 어떻게 되나요?
또 2자유면에서 따로 외워야할 공식이 있을까요?
1권 1-400페이지 01번
총천공시간 = 천공장/천공속도 에서 천공장은 천공깊이×천공계수 본 갯수로 하는데 기준이 착암기 한대 입니다
만약 착암기의 대수가 늘어나면 총천공시간은 줄어드나요?
예를들어 두개의 착암기면 천공장/천공속도÷2
이렇게요
이때까지 착암기 대수가 2대 이상이었던적이 있나요?
또 1-402페이지 7번의 다 에서 시간당 천공공수를 구하라고 했는데 답이 5.99공 입니다
이문제의 천공공수는 왜 내림처리를 하지않나요?
1-409페이지 25번에서는 5.24공을 5공으로 내림처리를 했구요
토공에서 나오는 기계대수, 트럭수는 나눌수가 없으니 올림처리를 하지 않습니까?
시간 같은 경우는 xx.xx 시간 으로 표시가 가능하구요
천공수는 내림처리를 해야하는지 소수점 써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올림내림처리를 해야하는것과 그대로 써야하는걸 구분해주셨으면 합니다
1권 1-480페이지 5번
이 문제도 2회차때 나왔는데요
문제가 안정성 검토가 아닌 안전율을 구하라 였습니다
그럼 6.5/6 해서 1.08로 답을 쓰는게 맞는건가요?
1권 1-483페이지 2번
연직력 W 공식중 케이슨의 부력을 구할때 높이를 물에잠긴 부분인 7m를 써야하는게 아닌가요?
부력이라는건 물때문에 뜨는 힘인데 물에 잠긴부분이 아닌 케이슨 높이를 넣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질문이 굉장히 많네요. 이번이 마지막 시험이라고 생각해서 절박합니다
별거 아닌 문제라도 질문하게 되네요. 죄송합니다
답변 기다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