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AC구간에 작용하는 수직하중 4t에 의해 A절점에서는 반시계방향의 2.5t.m, B절점에서는 시계방향의 2.5t.m의 고정단모멘트가 발생됩니다.
A점은 고정단이므로 고정단모멘트를 받아낼 수 있지만, C점은 절점이므로 고정단모멘트를 받아낼 수 없으므로 시계방향 2.5t.m를 바꾼(=해제시킨) 반시계방향의 2.5t.m이 C에서 A쪽으로, C에서 B쪽으로, C에서 D쪽으로 분배율만큼 분배됩니다. 이때 C에서 A쪽으로 분배된 반시계방향모멘트의 절반이 A점의 전달모멘트 -0.357이 되고 앞서의 -2.5의 고정단모멘트와 합해진 -2.857t.m가 A점의 모멘트반력이 됩니다. A점의 반력 -2.857t.m에서 -는 반시계회전력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반시계회전력 2.857t.m가 수평의 AC부재를 위로 휘어지게 만들것이므로 A점의 휨모멘트는 -2.857t.m가 됩니다.
이 문제의 답은 다번이며, 교재의 해설도 틀려 있습니다.
개정판에 수정반영해놓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