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60
38번에서 '극각'이라는 단어가 나왔는데 편각을 의미하는건가요?
편각이나 접선각이라면 곡률이 가장 큰 클로소이드 곡선이 가장 빨리 나선을 끝내게 돼서
가장 짧아질거라고 생각했는데 답은 클로소이드와 3차 포물선 곡률의 중간에 있는
램니스케이트 곡선이더라구요.
'극각'의 용어 설명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왜 답이 램니스케이트 곡선이 되는 지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261
45번에서 '라' 지문을 보면 곡선장과 파라메타를 일정하게 고정하는데,
이러면 곡률반경도 자동으로 고정되어(44번 문제처럼)
이정량 자체를 변화시킬 수 없지않나요?(이정량=L^2/24R이기 때문에)
따라서 복수정답이 아닌지 궁금합니다.